"사태 해결을 위한 최소한의 요구 무시한 채 그릇된 정책 밀어붙여"
연세대 의과대학 유대현 학장은 "보건복지부의 횡포를 좌시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며 "교수님들의 의견을 물어 응급실, 중환자실 및 코로나 관련 진료를 제외한 모든 진료의 축소, 단계적 파업, 교수 사직서 제출 등의 강력한 대응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유 학장은 28일 오후 6시 40분쯤 의대 교수들에게 긴급 서신을 보내 이같이 밝혔다. 정부의 전공의 고발 조치에 반발, 병원 차원의 집단 행동을 준비하겠다는 것이다. 세브란스병원의 하루 외래 진료 환자 수는 평균 9000~1만명 수준이다.
유 학장은 "복지부는 파업에 참여한 전공의 10명(세브란스병원 전공의 1명 포함)을 고발 조치했다"며 "사태의 해결을 위한 교수들의 신중하고 절제된 최소한의 요구도 무시한 채 그릇된 정책을 밀어붙이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허물어져 가는 이 나라의 의료 제도를 좌시할 수 없으며 우리의 후배와 제자들을 다치게 할 수는 없다. 모든 교수님들께서 함께 공감하며 진행 상황을 예의 주시해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연세대 의대 학장 겸 의학전문대학원장을 맡고 있는 유대현 성형외과 교수는 지난 2015년 흉기 피습을 당한 마크 리퍼트 전 주한 미국대사의 수술을 집도한 '리퍼트 주치의'로도 알려져 있다.
다음은 유 학장이 교수들에게 보낸 서신 전문.
존경하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여러분
우리는 오늘 아침 의과대학 교수 명의의 성명서를 통하여 현 의료계 파업 상황에 대한 우리 교수들의 우려를 밝히고 잘못된 의료 및 교육 정책의 재논의와 제자들의 불이익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우리의 의지를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 보건복지부는 파업에 참여한 전공의 10명(세브란스 병원 전공의 1명 포함)을 바로 고발 조치하였습니다. 사태의 해결을 위한 우리 교수들의 신중하고 절제된 최소한의 요구도 무시한 채 그릇된 정책을 밀어붙이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표명한 것입니다.
이제 저희 교수들은 더 이상 복지부의 이러한 횡포를 좌시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오후 긴급 대책 회의를 열고 여러 교수님의 의견을 모으고 교수 평의원회등과 소통하며 우리의 대처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습니다.
이에 향후 우리는 교수님들의 의견을 물어 응급실, 중환자실 및 코로나 관련 진료를 제외한 모든 진료의 축소, 단계적 파업, 교수 사직서 제출 등의 강력한 대응을 준비하겠습니다. 더 이상 허물어져 가는 이 나라의 의료 제도를 좌시할 수 없으며 우리 후배와 제자들을 다치게 할 수는 없습니다.
모든 교수님들께서도 함께 공감하며 진행 상황을 예의 주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0년 8월 28일
의과대학 학장 유 대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