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해커들이 가상화폐 훔치고 中 통해 자금 세탁"
美 법무부, 법원에 소장 제출…"계좌 몰수 필요"
미국 법무부가 북한 해커들의 소행으로 의심되는 3억달러(약 3554억원) 규모의 가상화폐 탈취 사건과 관련해 280개의 가상화폐 계좌에 대한 몰수 작업에 착수했다.
27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 법무부는 이날 워싱턴 연방법원에 제출한 소장에서 북한과 중국 해커들이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소 10여곳에서 가로챈 돈의 일부를 세탁하는 데 사용한 가상화폐 계좌 280개에 대한 몰수를 요청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 해커들은 은행 또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직접 해킹하는 것 외에도 암호화폐 채굴이나 온라인 컴퓨터게임 내 포인트 및 아이템을 현금화하는 방식의 사기로 돈을 빼돌렸다. 이들이 지난 지난 2년간 사이버 절도 행위로 훔친 돈만 3억달러가 넘는다.
브라이언 랍빗 법무부 범죄담당 차관보 대행은 "이번 조치는 미국의 가상화폐 기업도 북한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첫 번째 공식 발표"라며 "북한의 사이버해킹 프로그램과 중국 가상화폐 자금 세탁 네트워크 사이에 분명한 연결고리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WSJ은 이번 조치를 두고 미국이 북한을 국가안보와 세계 금융 시스템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보고 있다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특히 UN과 미 안보당국 고위 관리자를 인용해 "북한 정권은 사이버 절도 수익금을 군사 및 핵무기 프로그램 자금을 대는 데 사용한다"며 "북한이 무기 개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국제 금융망과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을 택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미 육군은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에서 "북한의 사이버 절도 행위는 곧 미국의 국가 안보 위협과 직결된다"며 북한이 전 세계에 사이버 절도를 위한 6000여명의 해커를 보유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한편 AP통신은 이번 수사에 법무부 외에도 미 사이버사령부, 재무부, 연방수사국(FBI)이 참여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연방기관은 전날 현금자동입출금기를 통한 북한의 해킹 시도와 관련해 합동으로 경보를 발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