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계속 유지하기로

금융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금융지원을 연장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12일 오후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금융협회장들을 만나 최근의 다양한 금융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가장 큰 관심사는 코로나19 금융지원 연장 여부였다. 정부와 금융권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과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대출 만기연장, 이자상환 유예 등의 금융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당초 올 하반기에는 사태가 진정될 것으로 보고 금융지원 기간을 9월말까지로 한정했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지원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됐다.

은성수(오른쪽 두번째) 금융위원장과 금융협회장들이 12일 간담회를 갖고 금융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은 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코로나19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상존하는 만큼 적극적인 금융지원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손실부담능력 확충 및 건전성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금융협회장들은 코로나19 위기가 해소될 때까지 금융지원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답했다.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대출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 조치의 연장을 수락한 것이다.

지난 2월 7일부터 7월 31일까지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은 대출 만기연장 49조5000억원, 이자상환 유예 810억원의 금융지원을 제공했다. 올 상반기 국내은행의 기업대출 증가액은 81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증가액(48조8000억원)의 두배에 달했다. 금융협회장들은 향후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할 계획임을 밝히며, 충분한 충당금 적립을 위해 손비인정 등 제도개선 사항에 대해 당국과 지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빅테크 금융업 진출에 따르는 상생·협력 방안,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위한 금융권 역할, 주택시장 안정대책을 위한 금융권 역할,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금융지원 방안 등이 논의됐다. 금융협회장들은 빅테크 금융 협의회를 통해 '동일기능-동일규제' 등 공정한 경쟁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밝혔고, 한국판 뉴딜과 주택시장 안정대책, 집중호우 금융지원 등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