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A 기자의 강요미수 의혹’ 사건과 관련 이동재(35·구속) 전 기자와 한동훈(47) 검사장 간 공모 정황을 확인했다고 전한 KBS ‘뉴스9’ 보도의 취재원을 시민단체가 검찰에 고발했다.

지난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KBS 사옥에서 KBS 노동조합 조합원들이 자사 '검언유착' 의혹 보도가 오보로 드러나자 이에 대한 책임을 요구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법치주의 바로 세우기 행동연대(법세련)은 24일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 혐의로 해당 KBS 보도의 취재원을 서울남부지검에 고발했다. 사실과 다른 녹취록 정보를 제공해 KBS 오보를 내도록 한 것을 수사해야 한다는 취지다.

법세련은 "녹취록에 없는 완벽한 허위의 사실을 취재원이 KBS에 제보했고, 이는 순수한 공익 목적의 제보가 아닌 불순한 목적의 정치공작"이라며 "오보를 유도한 취재원은 순수한 공익 목적의 제보자가 아니라 악의적인 허위 사실을 제보해 KBS를 이용해 사실상 수사개입을 시도한 파렴치한 범죄자이므로 취재원으로서 보호받을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특정한 방향으로 보도하게끔 ‘청부 보도’를 사주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는 만큼 수사당국은 취재원의 범죄행위를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KBS는 지난 18일 ‘유시민 총선관련 대화가 스모킹건… 수사 부정적였던 윤석열도 타격’이라는 제목의 보도를 통해 "한 검사장과 이 전 기자가 4월 총선을 앞두고 만나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신라젠 주가 조작 연루 의혹을 제기하자고 공모​했다는 정황이 확인됐다"고 전했다가 다음날 사과했다. KBS는 "기사 일부에서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단정적으로 표현했다"고 인정했다.

KBS가 지난 18일 보도한 기사의 다시보기 서비스를 중단했다.

이후 이 보도를 두고 KBS 내부에서는 외부인의 ‘청부 보도’라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KBS 뉴스9 검언유착 오보방송 진상규명을 위한 KBS인 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실제와 다른 내용이 보도되는 과정에 녹취록을 봤다면서 그 내용을 취재진에게 들려준 ‘제3의 인물’이 있다고 주장했다.

제3의 인물이 "이번 총선에서 어찌 됐든 야당이 승리하면 총장한테 힘 실리고 현 정부는 레임덕이 오고 이런 구도를 짜고 간 거야"라고 했는데, KBS 보도에 "총선을 앞두고 보도 시점에 대한 이야기도 오간 것으로 확인됐다"는 식으로 반영됐다는 것이다.

KBS인 연대는 "KBS 취재진에게 이동재 전 채널A 기자와 한동훈 검사장의 녹취록 내용에 대해 왜곡된 정보를 알려준 인물이 검찰 인사인지, 정치권 인물인지, 정치 브로커인지는 실체를 밝혀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KBS 보도본부는 전날 입장문을 내고 "해당 보도는 취재팀의 자율적인 취재와 발제, 그리고 휴일의 통상적인 편성 절차를 거쳐 결정됐다"며 "이 과정에서 어떤 외부의 청탁이나 개입은 없었고, 일각에서 제기하는 이른바 ‘청부보도 의혹’ 등은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했다.

KBS 보도본부는 또 "KBS 법조팀은 ‘법조 보도 개선방안(가칭)’을 자체적으로 마련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좀 더 정확한 취재보도를 할 수 있도록 혁신의 계기로 삼겠다"며 "회사 내의 보도편성위원회와 공정방송위원회, 심의평정위원회 등 공식 기구를 통해 이번 사고의 책임을 묻는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