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 인수를 포기하기로 했다. 두 회사간 합병은 국내 첫 항공사간 기업 결합으로 뜨거운 관심을 받았지만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 등으로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앞으로 계약 파기 책임을 두고 소송전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2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이르면 23일 이스타항공 인수·합병(M&A) 계약에 대한 파기를 통보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에 미지급금 해소 같은 선결 조건을 지키지 못해 계약 해제 요건을 충족했다는 내용을 담은 계약 해제 통보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앞서 지난 16일 제주항공은 "(마감시한인) 15일 자정까지 이스타홀딩스가 주식매매계약의 선행 조건을 완결하지 못해 계약을 해제할 수 있게 됐다"며 "다만 정부의 중재 노력이 진행 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계약 해제 최종 결정과 통보 시점을 정하기로 했다"고 입장자료를 낸 바 있다.
제주항공은 지난 1일 이스타항공에 10 영업일 이내로 선결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공문을 보냈다. 그러나 이스타항공이 마감 시한인 15일까지 선결 조건을 모두 완료하지 못했다는 것이 제주항공 측 주장이다.
이스타항공은 제주항공과의 인수 합병이 무산되면 자력으로 회복이 불가능할 전망이다. 결국 파산 수순을 밟게 될 가능성이 크다. 항공업계는 이스타항공이 법정 관리에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되면 기업회생보다는 청산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두 항공사 간 선결 조건 이행 여부를 놓고 양사의 입장차가 엇갈리고 있어 향후 법정 공방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스타항공은 "이스타항공과 이스타홀딩스는 제주항공과 주식매매계약서 상의 선행조건은 완료했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스타항공 관계자는 "우리가 잘못한 것이 없고, 제주항공의 일방적 계약 파기로 본다"며 "내일 계약 해제 공문이 발송되면 제주항공에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