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공화당, 중국 올림픽 개최 막는 법안 잇따라 제출
中, 대외선전용으로 올림픽 활용할 듯…보이콧 유혹 커져
동계올림픽 금메달 상위 6개국 모두 중국과 관계 안좋아
코로나 내년 가을까지도 종식 안되면 보이콧 불가피
美대선에 달려있단 주장도… "바이든 되면 가능성 낮아"

서방국가들이 오는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보이콧 할 수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9일(현지시각) 외교 전문가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중국 허베이성 장자커우시에 2020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카운트다운 시계가 설치되고 있다.

이날 SCMP에 따르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토마스 바흐 위원장은 "올림픽 보이콧은 오직 선수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뿐"이라고 17일 우려했다. 그는 이 발언이 2022년 베이징 올림픽을 겨냥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하면서도 "중국이 인권을 보호하고 있다고 매우 자신한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코로나와 홍콩 국가보안법, 신장위구르 자치구 소수민족 인권 탄압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과 중국 간 갈등이 심화되며 올림픽 보이콧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왔다.

중국은 31억달러(3조7000억원)의 예산을 투자해 베이징 올림픽 준비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국제행사인 올림픽을 중국이 코로나를 효과적으로 막는 데 성공한 평화롭고 책임감 있는 국가라는 점을 알리는 데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공화당 리처드 스콧 상원의원은 내년 1월까지 인권 문제가 대폭 개선되지 않으면 올림픽 개최국을 교체하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을 지난 3월 냈다. 앞서 대중(對中) 강경파인 마크 루비오 공화당 상원의원은 신장 자치구 소수민족 탄압을 고려해 중국의 올림픽 개최국 지위를 박탈해야 한다고 2018년 주장한 바 있다.

옥스포드대학의 중국센터 소속 조지 마그너스 연구원은 2018년 동계올림픽 때 금메달 절반을 가져간 6개국(노르웨이·독일·캐나다·미국·네덜란드·스웨덴) 모두 서방국가이며, 최근 중국과 관계가 악화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보이콧을 할지 말지에 대해선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중국이 지난 2008년 하계올림픽 때 그랬던 것처럼 2022년 동계올림픽을 자국을 선전하는 데 쓰려고 한다는 점을 서방국가들이 아는 순간, 행사를 경시하거나 보이콧 하겠다는 유혹은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미 뉴욕 소재 싱크탱크 GHC(Global health at the Council)의 황옌총 연구원은 만약 코로나가 내년 가을까지 건재하다면, 보이콧 가능성이 높다"며 "이 경우 미국과 서방국가들의 정치인과 전문가들이 중국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일 것이고,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올림픽 보이콧에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영국 런던 SOAS 중국 연구소의 스티브 창 소장은 중국이 타국을 위협하는 전랑(戰狼·늑대전사)외교를 계속한다면 보이콧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미리 결론을 내지는 않겠지만, 어떤 형태로든 보이콧이 일어날 위험은 현실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오는 11월 미 대선 때 누가 대통령에 되는지에 따라 미국이 보이콧을 주도할 지 여부가 달려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미 워싱턴 소재 중국-미국 연구소(Institute for China-America Studies)의 사우라 굽타 연구원은 "조 바이든이 당선된다면 보이콧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된다면 가능성이 있지만 승산이 없는 시도"라고 말했다.

미 오리건 퍼시픽대학의 쥴스 보이코프 교수는 "미국이 보이콧을 주도한다고 해도,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의 위상이 떨어진 점을 고려할 때 강력한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미지수"라며 회의론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