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전한 형태로는 전 세계에 3점 밖에 남아있지 않은 고려시대 '나전국화넝쿨무늬합(나전합)’이 일본으로부터 환수돼 2일 그 모습을 드러냈다.
문화재청은 이날 오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나전합을 언론에 공개하는 행사를 열고 "전 세계에서 단 3점만이 온전한 형태로 전해지는 나전합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유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이번 환수가 뜻깊다"고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나전합은 커다란 원형 합(모자합·母子盒) 속에 들어 있던 5개의 작은 합(자합·子盒) 중 하나다. 가운데 자합을 다른 자합 4개가 둘러싼 모습인데, 환수한 나전합은 바깥 4개 중 하나로 추정된다.
이 나전합은 길이 10㎝ 남짓에 무게는 50g로, 작고 가볍지만 고려 나전칠기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준다. 영롱하게 빛나는 전복패와 온화한 색감의 대모(바다거북 등껍질), 금속선을 이용한 치밀한 장식 등이 조화롭게 어우려져 있다. 뚜껑과 몸체에 매우 작게 오려진 나전이 정교하게 배치돼 유려한 무늬를 만들어내고 있다.
문화재청 위임을 받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일본인 소장자와 접촉해 다각적인 협상을 한 끝에 지난해 12월 국내로 들여올 수 있었다. 일본으로 건너간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고, 오래전부터 일본 내에서 전해져온 것으로 보인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이후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제작 기법과 재질 등을 분석, 고려 나전칠기의 전형적 특징을 지닌 수작임을 확인했다. 고려 나전칠기는 청자, 불화와 함께 고려의 미의식을 대표하는 최고의 공예품으로 손꼽힌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현재 고려 나전칠기는 나전합 3점을 포함해 전 세계에 20여 점만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 환수된 나전합과 모양이 동일한 고려 나전합은 전 세계에 단 3점만 존재한다. 나머지 2점은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일본 교토에 있는 사찰 게이슌인에 소장돼 있다. 우리나라는 온전한 형태의 나전칠기 유물을 2점만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나전합이 추가돼 총 3점을 소장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