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 주둔비용으로 50억 달러를 받지 못하면 한국에서 미군을 철수하라고 위협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고위 외교안보 참모들에게 한반도에 왜 대규모 주한미군이 주둔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 배경으로 촬영된 볼턴 회고록 표지.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3일(현지시간) 발간 예정인 회고록 '그 일이 일어난 방'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 문제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미군 철수를 수차례 위협했다고 주장했다.

회고록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8월 아프가니스탄 문제 등에 관한 회의를 하던 중 한국에서 진행 중이던 한미연합훈련을 가리키면서 "그 워게임은 큰 실수"라며 "우리가 (한국의 미군기지 지원으로) 50억 달러 합의를 얻어내지 못한다면 거기에서 나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한미연합훈련이 모의연습이고 자신도 훈련에 동의했음에도 "난 정신병자와 평화를 이뤄내려고 노력 중"이라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언급한 뒤 이같이 말했다고 볼턴 전 보좌관이 회고록에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워게임'은 작년 8월 진행된 한미 연합지휘소 훈련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또 회고록에서 볼턴 전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 '전쟁 연습'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가 왜 한국전에 나가 싸웠는지, 그리고 왜 우리가 여전히 한반도에 그토록 많은 병력을 갖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계속 중얼거렸다고 썼다. 이어 "우리는 얼간이(chumps)가 되는 것을 끝낼 것"이라고 했다고 볼턴 전 보좌관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볼턴 전 보좌관이 지난해 7월 방위비 분담금 협상차 한국과 일본을 방문한 뒤 워싱턴DC로 돌아와 결과를 보고하는 자리에서도 "80억 달러(일본)와 50억 달러(한국)를 각각 얻어내는 방식은 모든 미군을 철수한다고 위협하는 것"이라고 지시했다고 전해진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보고를 받은 후 "이것은 돈을 요구하기에 좋은 타이밍"이라면서 "존(볼턴 전 보좌관)이 올해 10억 달러를 가져왔는데 미사일 때문에 50억 달러를 얻게 될 것"이라고 공공연히 말했다고 회고록에 적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바라보는 존 볼턴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볼턴 전 보좌관은 저서를 통해 "한국(그리고 일본, 유럽 동맹들)과의 관계를 몹시 괴롭혔던 이슈 중 하나는 미군 기지를 유치한 나라들이 내야 할 비용 분담에 관한 문제"라며 "셀 수 없이 많은 논의 후에도 '우리가 한국을 지키기 위해 거기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은 흔들리지 않았다"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군 주둔국들이 기지 비용에 '플러스 50%'를 더 내야 한다는 생각을 오랫동안 갖고 있었다고 소개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적당한 액수라고 판단하는 만큼 지불하지 않는 나라에서 미군을 철수하겠다는 그의 궁극적인 위협이 한국의 경우 진짜일 것을 두려워했다"며 이를 저지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려고 했다고 밝혔다.

미군 주둔국의 비용 분담에 대해 볼턴 전 보좌관은 "액수와 방식은 다양했고 실제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합의는 없었다"면서 "미 국방부의 창의적인 회계 기술에 따라 거의 모든 비용 수치가 높든 낮든 정당화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