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中 홍콩 국보법 공동성명, 일본이 주도"
對중국 강경 메시지 피했던 아베, 기류 변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에 반대하는 주요7개국(G7)의 공동성명 발표를 일본이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일본은 표면적으로는 미국과의 동맹을 우선하면서도 중국과의 경제 협력관계를 고려해 강경 메시지를 던지는 건 피해왔다.
10일 로이터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을 제정하기로 한 것에 대해 이미 일본이 우려를 표명 했다"며 "일본이 G7 내에서 성명을 발표한다는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이끌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G7은 자유, 민주주의, 인권, 법의 지배 같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나라들이 모여 세계를 이끌어간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도 했다.
일본은 그동안 중국을 직접적으로 저격하는 움직임을 자제해왔다. 지난달 28일 중국이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에서 홍콩 보안법 제정을 결정하자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가 비판하는 공동 성명을 냈지만 일본은 빠졌다.
그러나 미중 갈등 양상이 심화 되며 일본 정부의 기류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G7 회의를 전격 연기 하겠다고 밝히고 한국, 호주, 러시아, 인도 등 비(非)회원국을 초대하겠다며 반중(反中) 동맹 결성 의향을 분명히 했다.
앞서 요미우리는 복수의 일본 외무성 간부를 인용해 G7 외교장관이 중국에 홍콩 보안법 도입을 재고하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하기 위해 각국이 실무자 수준에서 세부 내용을 검토 하고 있다고 전했다.
당초 미국이나 영국이 몇 개국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성명 발표를 추진했으나 일본 정부가 G7의 틀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G7 공동성명을 제의 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