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배터리 제조사인 중국 CATL이 누적 주행거리 200만km를 지원하는 전기차 배터리를 개발했다. 이는 지구를 50바퀴 돌 수 있는 수준으로, 기존 전기차 배터리보다 수명이 8배 이상 길다.

쩡위췬(52) CATL 회장은 8일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16년간 사용이 가능하고 누적 주행거리 200만km를 달릴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존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은 8년에 24만km 정도다. 쩡 회장은 "주문만 하면 바로 생산할 수 있고, 기존 제품보다 10% 이상 비싸다"면서도 장기 계약을 체결한 기업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CATL은 테슬라와 폴스크바겐, 벤츠, 아우디, 포르쉐 등을 고객으로 둔 세계 최대 배터리 업체다. 블룸버그는 전기차 배터리 수명 연장은 전기차 유지·관리 비용을 낮춰 시장 확대에 기여할 촉매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슬라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는 모델3. CATL은 LG화학과 파나소닉에 이어 테슬라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주요 배터리 업체다.

배터리의 짧은 수명은 고객들이 전기차 구매를 주저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이에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지난해 100만마일(160만km)를 지속 주행할 수 있는 배터리를 생산하겠다고 선언했고, GM도 100만마일 배터리 개발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쩡 회장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얼어붙은 전기차 시장이 내년부터 회복할 것에 대비해 연구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면서 "장기적으로 큰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시장조사업체 BNEF는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이 내년 8.1% 성장하고 유럽 판매도 5%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쩡 회장은 2030~2035년이면 전기차가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량을 앞지를 것으로 보고 늘어날 수요에 대비해 독일에 배터리공장을 짓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미국 공장 건설 계획은 없지만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쩡 회장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이메일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미래 사업 계획에 대해 자주 의견을 나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CATL과 테슬라의 장기 계약도 양사 회장의 만남을 계기로 성사됐다. LG화학, 파나소닉 등과 오랜 협력 관계를 지속해온 테슬라는 지난 2월 CATL과도 2년간의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CATL의 배터리는 테슬라의 중국 상하이 공장인 기가팩토리에서 생산되는 '모델3'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이다. 쩡 회장은 "머스크와는 잘 지내며, 그는 재밌는 사람"이라면서 "그는 항상 비용에 관해 얘기하는데, 나는 해결방안을 갖고 있다고 확신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