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6일 발표한 용산 정비창 부지(51만여㎡) 개발사업의 빠른 추진을 위해 7월까지 개발계획안(기본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기본계획은 사업의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이다. 용산 정비창 부지는 수년간 개발이 추진됐지만, 사업자의 자금난 등으로 사업이 지지부진했다.
20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달이나 늦어도 7월까지 용산 정비창 개발사업의 기본계획안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기본계획 작업은 서울시와 코레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을 중심으로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미 용산 정비창 개발과 관련해, 기본계획 수립을 진행중"이라며 "정비창 부지가 대부분 코레일의 소유인 만큼, 보상과정 등 절차가 간단해 최대한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용산정비창 부지를 살펴보면, 70~80%의 땅이 한국철도(코레일)의 소유다. 나머지는 국토부와 서울시, 철도관리공단이 소유하고 있다. 660~990㎡(200~300평) 정도가 사유지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코레일의 땅만 가지고 개발사업을 추진할 수있는 상황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공공이 주도하는 사업의 경우, 보통 기본계획안 수립에 5~6개월, 지자체 인허가를 받는데 6개월 등 최소 1년 정도 시간이 걸린다"면서도 "다만 용산 정비창 사업의 경우, 이슈화가 됐고 정부가 추진하는 만큼 소요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이미 어느 정도의 기본계획안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했다.
기본계획은 재개발 사업의 첫 단추로서 사업준비 단계를 의미한다. 기본계획에는 ▲정비사업 기본방향 ▲사업계획기간 ▲정비 예정구역의 개략적 범위 ▲토지이용계획 ▲세입자 주거안정대책 ▲공공시설계획 ▲건축시설에 대한 건폐율 및 용적율의 조정계획 ▲단계별 투자계획 등 재개발의 밑그림이 담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6일 코레일의 서울 용산역 철도 정비창 부지에 주택 8000가구 등 향후 서울에 7만 가구를 공급하는 내용이 담긴 ‘수도권 주택 공급 기반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서울 도심 재개발 사업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 공기업을 참여시키고, 규제를 완화해 주택 4만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했다.
용산 정비창 부지는 과거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에 포함됐던 곳으로, 서부이촌동 일대(56만6800㎡)까지 묶어 최고급 주택 5000여가구를 조성할 예정이었지만 자금난 등으로 2013년 사업이 백지화됐다.
이번에 정부가 내놓은 계획은 과거보다 3000가구 늘어난 8000가구의 주택이 들어서게 되며, 일부 오피스텔을 제외하면 대부분 아파트를 짓게 된다. 이 중 5000~6000가구는 일반 분양, 나머지 2000~3000가구는 임대주택으로 공급될 계획이다.
국토부는 기본계획 안을 확정한 뒤, 인허가권을 가진 용산구와 서울시의 도시개발위원회의 승인을 받고 내년까지 구역지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후 2023년 사업 승인을 거쳐, 이르면 2023년 말 혹은 2024년 분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