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팀, 60세 이상 노인 대상 연구

하루에 커피를 2잔 이상 마셨을 경우, 뇌졸중과 인지기능저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여성의 경우 위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성남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492명을 대상으로 커피 소비량과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을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지난 2월 25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카페 내에서 시민들이 커피를 마시고 있다.

뇌백질 고강도신호는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찍었을 때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면서 생긴 병변이다. 뇌백질 고강도신호가 있으면 뇌졸중과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날 위험이 크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평균 커피 소비량에 따라 마시지 않은 그룹과 하루 2잔 이하로 마신 그룹, 하루 2잔을 초과해 마신 그룹으로 구분했다. 또 각 그룹을 남성과 여성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2잔 넘게 마신 여성 그룹의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이 커피를 마시지 않은 그룹보다 컸다. 남성 그룹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연구팀은 장기간 카페인 섭취로 인해 뇌 관류가 저하되고, 혈압 상승과 함께 동맥경직도가 증가하면서 노년기에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단 커피의 여러 성분 중 어떤 성분이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 증가를 유발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커피 섭취로 인한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 증가 위험이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높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여성이 남성보다 카페인 민감도가 높고 체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 영향으로 인해 카페인 분해속도가 느린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의 하루 커피 섭취 권장량은 카페인 300∼400㎎으로 약 3잔 정도지만 커피 섭취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려면 더 많은 인구수와 인종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