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에어(272450) 임직원들의 참여를 통해 새로 제작한 객실승무원 근무복을 30일 공개했다. 기존에 여성 승무원들이 입었던 스키니진 형태의 청바지 근무복이 업무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진에어는 새로운 객실승무원 유니폼을 6월 중 배포하고 7월부터 일괄 착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7월부터 적용되는 진에어 직원들의 새로운 근무복. 승무원들의 하의가 기존 청바지 근무복에 치마가 추가된 점이 특징이다.

먼저 여성 객실승무원들의 상의는 팔을 뻗는 동작이 많고 장시간 서서 근무하는 기내 업무 환경을 고려해 셔츠 디자인으로 변경됐다. 또 기존 청바지와 함께 치마도 추가해 객실승무원들의 선택권을 넓혔다.

7월부터 적용되는 진에어 직원들의 새로운 근무복

하의는 면과 재질과 성질이 비슷하나 통기성이 좋고 탄성 회복력이 높은 모달(Modal) 섬유를 혼방한 데님 원단을 적용했다. 구두는 편안함과 활동성에 대한 직원들 의견을 반영해 기내화, 램프화로 이원화했다. 이와 함께 스카프, 모직 코트, 카디건 등 다양한 아이템을 새로 추가했다.

지난 2008년 설립된 진에어는 그동안 국내 항공사 중 유일하게 객실승무원들의 근무복을 청바지로 유지해 왔다. 지난해 7월 취항 10주년을 맞아 근무복을 새롭게 교체했지만, 하의를 청바지만 입도록 하는 기준은 바뀌지 않았다.

진에어의 청바지 근무복은 일반적인 항공사들에 비해 산뜻하고 독특해 보인다는 평가도 받았지만, 한편에서는 승무원들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지적도 많았다. 승무원들은 몸에 달라붙는 청바지를 입고 장시간 비행을 하게 되면 신속하게 고객 응대를 하기 어렵고 건강도 악화될 수 있다며 치마도 허용해 줄 것을 요구해 왔다.

청바지를 입고 탑승객들에게 인사하는 조현민 전 부사장

진에어의 청바지 근무복은 지난해 대한항공 일가의 ‘갑질 논란’의 대상 중 하나로 거론되기도 했다. 직원들은 인터넷 커뮤니티 등을 통해 조현민 전 진에어 부사장이 청바지를 좋아하기 때문에 회사가 치마 착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 때문에 진에어 측은 새 근무복을 제작하는데 직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했음을 강조했다. 진에어 관계자는 "새로운 유니폼은 실제 착용하는 현장 직원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직원들과 함께 발맞춰 나아가는 회사의 모습을 표현하고 착용 편의성을 강화했다"며 "고객과 직원 모두 행복한 즐겁고 일하기 좋은 항공사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객실승무원을 제외한 나머지 직군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새로운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다.

운항승무원은 조종석에 장시간 앉아 근무하는 업무 환경을 고려해 신축성이 좋은 원단의 블랙진을 토대로 한 정복 스타일로 변경했다. 운송서비스 직군은 고객과의 첫 접점이 이뤄지는 공항 업무 특성을 감안해 데님 소재를 활용한 상의 디자인을 적용했다.

항공 정비의 경우 다양한 작업 환경에 맞춰 티셔츠, 셔츠, 방한 조끼 등을 혼용해서 입을 수 있도록 유니폼의 아이템을 세분화했다. 또 빛이 반사되는 소재인 리플렉터를 안전 조끼와 겉옷에도 부착하는 등 착용감과 안전성을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