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0조원을 굴리는 소형 자산 운용사인 유리자산운용은 지난 2008년 8월 액티브 펀드와 10년 대결을 선언했다. 그해 8월 1일부터 매일 회사 홈페이지에 순자산 상위 50위 액티브 펀드의 수익률과 유리자산운용의 인덱스 펀드 누적 수익률을 공개했다.
액티브 펀드는 펀드매니저가 고수익이 날 만한 개별 종목을 골라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펀드를 말한다. 인덱스 펀드는 코스피200 등 각종 지수의 평균 상승률을 목표로 운용하는 펀드다. 최근 10년 대결 결과가 나왔다. 인덱스 펀드가 수익률 측면에서 압승을 거뒀다. 만 10년이었던 지난 7월 말 기준 인덱스 펀드인 유리MK웰스토탈인덱스펀드는 10년간 누적 수익률 72.21%를 기록했다. 반면 액티브 펀드의 누적 수익률은 31.09%에 그쳤다. 만 10년(거래일 2480일)의 하루 수익률 대결 결과는 1215승 41무 1224패로 인덱스 펀드가 액티브 펀드에 뒤진 날이 근소하게 많았지만, 수익률에서는 압도적 우위를 보인 것이다. 김성수 유리자산운용 상무는 "인덱스 펀드가 장기적으론 안정적 수익률을 올린다는 것을 개인 투자자에게 알리고자 10년 대결을 시작했다"면서 "앞으로도 변동성이 비교적 작은 인덱스 펀드가 좋은 성과를 거둘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인덱스 펀드 국내 주식형 펀드 절반 가까이 차지
큰 욕심을 버리고 지수 상승률 정도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인덱스 펀드는 최근 투자의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아왔다. 인덱스 펀드가 액티브 펀드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해 온 덕이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액티브 주식형 공모 펀드의 지난 5년 누적 수익률은 약 13%, 인덱스 펀드는 약 28%였다. 높은 수익률, 저렴한 수수료 등을 바탕으로 국내 인덱스 주식형 공모 펀드 설정액은 2008년 말 7조6128억원에서 지난 6일 23조6076억원으로 3배가 됐다. 반면 같은 기간 국내 액티브 주식형 공모 펀드 설정액은 2008년 말 69조83억원에서 24조8997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설정액에 운용 수익을 더한 순자산은 인덱스 펀드가 32조7971억원으로 액티브 펀드(25조7172억원)보다 약 30% 많은 상황이다.
◇정보 투명하게 공개되면서 펀드매니저의 차별성 떨어져
액티브 펀드와 인덱스 펀드의 대결은 1950년대에 시작된 논쟁이다. 월가의 전설적 투자자인 벤저민 그레이엄이 1949년 저서 '현명한 투자자'에서 저평가된 회사에 투자하는 '가치 투자' 이론을 정립하면서 액티브 투자의 원형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기술적 분석의 일종인 '퀀트 투자의 아버지'인 경제학자 해리 마코위츠가 1952년 논문에서 "좋은 종목을 고르는 것보다 최적의 포트폴리오로 분산 투자하는 것이 시장을 이기는 길"이라고 주장하면서 논쟁이 시작됐다.
한 자산 운용사 대표는 "거의 모든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기 때문에 과거처럼 전문가가 좋은 종목을 발굴하기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특히 국내 증시에서는 지난해 삼성전자 등 대형주가 지수를 강하게 이끌면서 대형주 비중이 높은 인덱스 펀드가 빛을 발했다. 인덱스 펀드의 수수료가 액티브 펀드보다 연 1~1.5%포인트 싸다는 점도 수익률 격차를 벌린 요인이다.
◇액티브의 반론 "내년에는 다시 가치주 시대 올 것"
하지만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서 액티브 펀드의 시대가 돌아올 것이라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실제 코스피가 약세를 보인 올해 초 이후 인덱스 펀드는 수익률 약 -10%, 액티브 펀드는 약 -7%를 기록 중이다.
시장의 대표적 가치 투자 전도사인 이채원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대표는 "액티브와 패시브 간의 자금 이동은 번갈아가며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금리 인상, 미·중 무역 분쟁 등 우호적이지 않은 환경 속에서 박스권 장세가 계속되면 인덱스 펀드의 상승이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미국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3%대에 안착하면 주가수익비율(PER)이 낮은 가치주에 투자하는 패러다임이 정착될 수 있다고 했다. 국내 1세대 가치 투자 펀드매니저인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대표도 "앞으로 한국의 거시 경제 환경이 불투명한 만큼, 시장 전체 상승보다는 개별 주식에 투자하는 액티브 펀드가 나은 성과를 낼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액티브 펀드, 인덱스 펀드
액티브 펀드는 펀드매니저가 고수익이 날 만한 개별 종목을 골라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펀드다. 인덱스 펀드는 코스피200과 같은 지수의 평균 상승률을 목표로 운용되는 펀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