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신입사원 평균 연령(4년제 대졸기준)은 남성 29.2세, 여성 27.9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생각하는 신입사원 적정연령인 남성 28.2세, 여성 26.4세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21일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기업 649개사를 대상으로 ‘신입사원 평균 연령’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신입사원을 채용한 498개사(76.7%) 중에서 남성 신입사원 평균 연령이 ‘28세’(20.1%)라고 응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27세’(14.3%), ‘34세 이상’(12.5%), ‘30세’(11.8%), ‘26세’(8.5%), ‘29세’(8.5%) 순이었다.
여성 신입사원의 경우 ‘26세’(17.1%)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25세’(15%), ‘24세 이하’(14.2%), ‘34세 이상’(11.6%), ‘27세’(10.3%) 순이었다.
조사 대상 기업의 절반을 넘는 333개사가 취업 적정연령이 있다고 답했다. 신입사원 채용시 나이의 제한이 있다고 답한 기업도 절반 이상인 56.4%에 달했다. 이들이 생각하는 신입사원 연령 제한은 남성 평균 31.3세, 여성 29.9세였다.
그 이유로는 '기존 직원들이 불편해할 것 같아서'(48.4%,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조직 위계질서를 흐릴 것 같아서'(31.1%), '조직문화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것 같아서'(29.2%), '쉽게 퇴사나 이직할 것 같아서'(16.1%), '금방 결혼이나 출산을 할 나이라서'(12.3%), '눈높이가 높아 여태 취업을 못한 것 같아서'(11.7%), '입사 동기들이 어려워할 것 같아서'(11.5%) 등이 뒤를 이었다.
응답한 기업의 60.7%는 연령 제한을 넘긴 지원자에 불이익을 주고 있었다. '무조건 서류 탈락'이 41.9%로 가장 많았고, '동점 시 불이익'(39.2%), '감점 처리'(18.9%) 순이었다.
반면 연령 제한이 없다는 응답자(283명)들은 그 이유로 ‘나이와 역량과는 관계 없어서’(60.4%, 복수응답), ‘다양한 경험을 갖추고 있어서’(23.7%), ‘나이가 많을수록 노련하고 적응을 잘해서’(18.7%) 등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