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사장단이 경제 활성화 관련 법안 국회 처리를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참여했다. 경제계 주도로 추진하고 있는 1000만명 서명운동에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서명을 한 이어 국내 최대 대기업인 삼성그룹이 참여함에 따라 서명운동이 범재계로 확산될 전망이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그룹 사장단은 이날 오전 수요사장단 회의가 끝난 뒤, 삼성전자 사옥에 설치된 '민생구하기 입법촉구 천만서명운동'에서 부스에서 서명 운동에 동참했다. 삼성그룹은 18일 삼성전자 사옥 1층에 서명 부스를 설치했으며 향후 계열사로도 서명 운동을 확대할 방침이다. 현대자동차와 LG그룹 등 다른 대기업 그룹들도 각각 서명 부스를 마련해 서명운동에 동참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이번 서명 운동은 대한상공회의소,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 경제 6단체가 지난 13일 대한상의 서울상의회관에서 긴급간담회를 개최하고 '경제활성화 법안 촉구를 위한 국민운동 추진본부'를 구성해 서명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정하면서 시작됐다.
우리나라의 대표하는 경제단체들이 대거 참여한 만큼 향후 경제계에 미치는 파급력도 상당할 전망이다. ‘민생 구하기 입법 촉구 국민운동본부’ 사무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현재 온라인 서명에 5만 명, 오프라인 서명(서면 서명)에 1만 명 등 총 6만 명 이상이 참여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등 여성 경제단체들과 바른사회시민회의 등 시민단체들도 길거리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나섰다.
재계 관계자는 “경제계의 움직임은 사실상 입법을 포기한 국회에 저항하기 위한 ‘절박함’에서 서명운동이 시작됐다”며 “원샷법도 대기업이 악용할 독소 조항은 대부분 제거됐는데 야당이 자세히 확인하지도 않고 지지층을 의식해 반대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작년 7월 초 국회에 상정된 원샷법(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은 현재 재벌 특혜라는 야당의 반대에 막혀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법안 심사 소위 논의(4차례)만 했을 뿐 7개월째 제자리 걸음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