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일본법인은 2011년 12월 14일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상장을 한 달여 앞두고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 회원 1300만명의 개인정보가 해킹당하는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8조원이 넘는 시가총액을 기록하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넥슨은 상장 훨씬 이전부터 일본 시장 진출을 준비했다. 넥슨 창업자인 김정주 NXC(넥슨의 지주회사) 사장은 1998년 일본을 방문했다가 사람들이 닌텐도 게임기를 사기 위해 매장 앞에 길게 줄 서 있는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이듬해 11월 넥슨은 일본 웹호스팅 업체 솔리드네트워킹과 손잡고 현지 합작법인을 만들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넥슨은 이후 2002년 12월 일본에 단독 법인을 세웠다. 당시만 해도 일본 지사였다.
넥슨은 2005년 10월 모회사를 한국 법인에서 일본 법인으로 바꿨다. 이에 따라 한국 넥슨은 넥슨 일본법인의 자회사가 됐다.
김 사장이 일본을 선택한 이유는 여러 가지다.
학창 시절 컴퓨터에 빠져 지내던 김 사장은 대학 때 일본에서 공부한 경험이 있어 일찍부터 일본 게임산업을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재학 중이던 1988년 일본항공(JAL)의 장학생 프로그램에 뽑혀 일본 상지대(조치대)에서 몇달간 연수했다.
소니와 닌텐도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게임 회사가 많고 게임 문화가 발달했다는 점도 김 사장이 일본 상장을 결정한 이유 중 하나다.
최승우 넥슨 일본법인 명예회장(상장 당시 대표)은 “김 사장은 오래전부터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세계 시장으로 나가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미국이나 홍콩 등 여러 곳을 검토했지만, 일본이 지리적으로 가깝고 게임 종주국이라는 점을 고려해 일본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일본이 기업가치를 더 높게 쳐주는 데다, 당시 일본 시장이 콘솔(게임 전용기) 게임에서 온라인 게임으로 넘어가던 시기라 이를 공략하기 위해 일본에서 상장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상장 당시 김 사장의 지분 평가액은 3조원이 넘었다. 일약 자수성가한 갑부로 떠올랐다.
창업 공신을 포함한 주요 임원들도 주식 부자 대열에 합류했다. 카이스트(KAIST) 대학원 기숙사 시절 김 사장의 옆방에 살았던 김상범 전 이사의 지분(2.38%) 평가액은 1700억원에 달했다.
2일 현재 도쿄 증시에서 넥슨 일본법인의 주가는 1112엔으로 마감했다. 공모가(1300엔)보다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