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단이 소속 의대생들에게 제시한 복귀 시한일인 27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료진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뉴스1

연세대 의대에 이어 서울대 의대 학생들도 등록 마감일인 27일 일제히 1학기 등록을 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미등록으로 인한 제적 처리를 피하고 ‘등록 후 휴학’ 또는 ‘등록 후 수업거부’ 등으로 투쟁 방식을 선회한 것이다.

이날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날 밤부터 이날 오전까지 투쟁 방식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3분의 2가량이 등록에 찬성했다.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지속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총 응답자 645명 중 기존에 휴학이 승인된 38명을 제외한 607명의 65.7%(399명)가 ‘아니오’를 택했다. ‘미등록을 이어가겠다’는 응답은 34.3%(208명)에 그쳤다.

서울대 의대 의정갈등 대응 TF는 이런 결과를 전하며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이어나가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등록 후 투쟁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TF는 “각 학년 공지방을 통해 학생회가 등록 절차에 대해 안내할 예정”이라며 “금일 오후 2시까지 복학원 제출 및 수강신청을 통해 등록 절차를 마무리해달라”고 했다.

서울대 의대는 이날 오후 5시에 1학기 등록을 마감할 예정이다. 이에 의대생들의 막판 등록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전날 밤 연세대 의대 학생 비상시국대응위원회도 1학기 휴학 방식을 ‘등록 휴학’으로 전환한다고 공지했다. 연세대의 경우 지난 21일 등록을 마감하고 지난 24일 미등록생에게 제적 예정 통지서를 보냈다. 학교 측은 28일 최종 제적 처리를 앞두고 문을 열어놓은 상황이다. 이날 연세대도 등록 신청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와 연세대의 결정이 다른 대학 학생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이화여대, 부산대, 동국대 등도 이날 의대생 복귀 신청 접수를 마감할 예정이다. 다만 전체 의대생 단체는 일단 ‘미등록 투쟁’을 이어간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은 이날 서울대와 연세대를 제외한 38개 의대 대표 명의 입장문을 내고 “투쟁이 끝난 것이 아니다”라며 “서울대와 연세대 일부의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곳은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의대는 ‘2학기 연속 유급된 자’ 또는 ‘3회 이상 유급 또는 학사 경고를 받은 자’ 등에 대해 제적 처리한다. 제적은 학교가 학생의 학적을 상실시키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