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27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일본뇌염을 옮기는 모기가 올해 처음으로 제주도와 전라남도에서 확인되면서다.
질병청에 따르면 제주도와 전남에서 이달 24∼26일 채집한 모기 42마리 중 10마리가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됐다. 일본뇌염 주의보는 작은빨간집모기가 해당 연도에 처음 채집되면 발령된다.
올해 주의보 발령은 지난해(3월 30일)보다 3일 이르다. 제주와 전남 완도 지역의 평균 기온이 지난해보다 6.2도나 오르면서 모기 활동 시기가 빨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 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모기다.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는데,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8~9월 정점을 보인다.
일본뇌염에 감염된 모기에 물리면 5∼15일 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 발열,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난다.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이 중 20~30%는 생명을 잃을 위험이 있다. 일본뇌염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는다.
질병청은 국가예방접종을 통해 2012년 이후 출생자를 대상으로 일본뇌염 백신 접종을 지원하고 있다. 질병청은 일본뇌염 백신 접종 경험이 없는 만 18세 이상 성인 중 논이나 돼지축사 인근 같은 위험 지역에 살거나 전파시기에 위험 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해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위험 국가 여행자 등에게는 예방접종을 권고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올해 일본뇌염 매개 모기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향후 모기 활동 기간에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며 “국가 필수예방접종 대상 아동은 예방접종을 제때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