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가 개발한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계열 비만약인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가 기존 식욕 억제제보다 탈모 부작용 위험이 52%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조선DB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가 개발한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계열 비만약인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가 기존 식욕 억제제보다 탈모 부작용 위험이 52%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탈모 가능성이 크다면 비만 치료제 사용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 마야르 에트미난(Mahyar Etminan) 교수 연구진은 2006~2020년 미국에서 세마글루타이드(1926명)와 식욕 억제제인 부프로피온-날트렉손 성분의 콘트라브(1348명)를 처방받은 성인 비만 환자를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의학논문 공개 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medRxiv)’에 공개됐다.

위고비는 음식을 먹으면 소장에서 분비되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호르몬을 모방한 약물이다. 원래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보고 당뇨 치료제로 개발됐다가 나중에 체중 감량 효과가 확인돼 비만약으로 발전했다. 위고비는 소화 속도를 늦춰 적은 식사로도 더 오래 포만감을 느끼도록 도와준다. 미국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도 GLP-1 계열 당뇨·비만 치료제이다.

GLP-1 계열 약물은 당뇨·비만 외에도 비만 합병증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지방간, 심혈관질환, 알츠하이머 치매 등 다양한 질환에서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임상시험에서 메스꺼움과 구토와 같은 일반적인 위장 부작용과 근감소증, 자살 충동 등의 심각한 부작용도 여럿 발견됐다.

탈모도 임상시험에서 확인된 부작용 중 하나다. 위고비 임상 3상 시험에서 중증 비만 성인의 약 3%, 12~17세 청소년의 약 4%에서 탈모 부작용이 나타났다. 이후 미국에서 위고비 투약 환자들 가운데 탈모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됐다. 이번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UBC 연구진은 세마글루타이드의 강한 식욕 억제 효과가 영양 결핍을 유발해 탈모 위험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논문 제1 저자인 모히트 소드히(Mohit Sodhi) 연구원은 “식욕 억제 능력은 환자가 음식을 덜 섭취하도록 유도하는데, 특히 탈모와 관련이 큰 단백질 결핍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또 GLP-1 계열 약물이 모발 주기에 혼란을 가져와 탈모를 유발할 수 있다고 했다. 소드히 연구원은 “급격한 체중 감소가 생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해, 자연적인 모발 주기의 혼란을 줄 수 있다”며 “위고비가 콘트라브보다 더 빠르게 체중을 감소시켜,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GLP-1 계열 약물이 탈모 증상 중에서도 모발이 생성·성장하는 기간을 다 채우지 못하고 탈락하는 ‘휴지기 탈모’와, 흔히 민머리를 말하는 안드로겐성 탈모증 위험을 증가시키는 호르몬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휴지기 탈모는 급격한 체중 감소와 같은 스트레스 요인이 모발 성장 주기를 방해해 모낭 성장이 멈춰 발생한다.

전문가들은 탈모가 우려되는 비만 환자는 세마글루타이드와 같은 GLP-1 계열 비만약 사용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뉴욕대(NYU) 랭곤병원의 프리야 자이싱가(Priya Jaisinghani) 박사는 “GLP-1 계열 비만약은 체중 감량 효과가 커 탈모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며 “의사와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체중 감량 비율을 위해 비만약 처방을 논의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소드히 연구원도 “의사와 환자 모두 약물의 효과는 물론 부작용을 이해하면 처방약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만 소드히 연구원은 탈모와 세마글루타이드의 상관관계를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연구는 특정 기간 동안의 처방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며, 세마글루타이드 투여 중단 후 탈모 증상이 개선되는지 여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참고 자료

medRxiv(2025), DOI: https://doi.org/10.1101/2025.02.23.25322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