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값 오름세가 꺾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토허구역 해제 후 크게 올랐던 서울 송파구는 하락 전환했다.
2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넷째주(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 폭은 0.11%를 기록했다. 전주 상승폭(0.25%)의 절반 수준이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도 하락 전환(0.02%→-0.01%)했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등 일부 선호단지는 지속적으로 수요가 집중돼 상승거래가 체결되고 있지만, 국지적으로만 급매 수요가 늘고 전체적으로는 관망 심리가 확대돼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수도권(0.07%→0.03%) 아파트값도 전주보다 오름폭이 축소됐다. 경기(0.00%→0.00%)는 전주에 이어 보합세를 유지했다. 서울과 경기(0.00%), 울산(0.01%), 전북(0.02%)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내렸다.
수도권 아파트 오름세가 주춤한 것은 지난 19일 발표된 토허구역 확대 지정 영향으로 분석된다. 서울시는 지난 24일부터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를 토허구역으로 지정해 전세를 낀 아파트 매수를 금지했다.
송파구(0.79%→-0.03%)는 서울에서 유일하게 아파트값이 하락으로 돌아섰다. 부동산원은 “신천·잠실동의 주요단지에서 급매로 인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서초(0.69%→0.28%), 강남(0.83%→0.36%), 용산구(0.34%→0.18%)는 오름폭이 절반 안팎으로 줄었다.
3월 넷째주 아파트값 상승폭이 가장 큰 곳은 경기 과천시였다. 과천시는 상승폭이 0.55%로 전주(0.68%)보다는 줄었지만, 전국에서 상승률이 가장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