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멘트협회(시멘트협회)는 올해 1~2월 시멘트 내수(출하) 실적이 지난해보다 크게 줄면서 올해 내수 목표 4000만톤(t)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일시멘트 단양공장 전경. /한일시멘트 제공

시멘트협회는 올해 1~2월 시멘트 내수가 전년 동기 대비 24.8% 급감한 445만t을 기록했다고 24일 발표했다. 이는 최근 5년간 1~2월 내수 판매 실적 가운데 가장 적은 물량이다. 약 712만t을 기록했던 2023년과 비교하면 2년 만에 37.5%(267만t) 감소한 것이다.

시멘트업계는 올해 내수 목표치인 4000만t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1~2월 최소 500만t대 출하가 필요했지만, 실적은 이에 50만t 이상 부족했다고 분석했다.

시멘트협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와 국제 공급망 교란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던 지난 2020~2022년에도 1~2월 시멘트 내수는 꾸준히 600만t 내외를 유지했다”며 “2023년에는 잠정 연기됐던 건설현장 가동 재개 등으로 동절기에도 712만t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멘트협회는 올해 시멘트 내수 4000만t 달성은 이미 불가능한 목표라고 주장했다. 시멘트협회는 “내수 4000만t은 지난 1991년 4420만t으로 처음 4000만t대에 진입한 이래 IMF외환위기 시기에도 경험해 보지 못한 실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고속성장을 실현하던 1991년 당시는 생산능력(4361만t)을 초과 달성한 4420만t의 실적을 기록했다”면서도 “현재는 약 6200만t 생산능력 대비 내수는 4000만t(가동율 64.5%, 기업경영 유지 위한 최소한의 가동율은 70%대 이상)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시멘트업계가 출하 감소에 따른 일부 생산라인의 가동 중단에도 불구하고 지난 2월 말 재고(클링커+시멘트)는 약 340만t으로 저장능력(379만t, 클링커+시멘트 합산) 대비 약 90%에 육박하고 있다.

한일시멘트 단양공장은 생산량 조절을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생산라인 6기중 2기를 가동 중단했다. 다른 시멘트업체 역시 저장시설 용량이 초과해 일부를 임시방편으로 야적하는 등 시멘트 생산을 줄여도 더 이상 쌓을 곳이 없어 추가 가동 중단의 위기를 겪고 있다. 현재 시멘트업계는 본격적인 성수기에도 불구하고 전체 생산라인(35기)중 8기를 가동 중단했다. 오는 4월에도 추가로 2기를 멈출 계획(총 10기)이다.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올해 1분기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중반에 고착화하면서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상황에서 국제 유연탄 가격 하락 등 원가 절감요인은 모두 희석된 상황”이라며 “건설 경기가 회복되지 한 극심한 수요절벽이 야기하는 시멘트업계의 경영 위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