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중심지 용산정비창 일대에 신규 주택 1만3000가구가 공급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안에 6000가구를, 지구 주변부에 민간주도 재개발‧재건축을 통해 7000가구를 2030년 입주를 목표로 공급할 계획이다.

28일 오후 2시 30분 서울 드래곤시티호텔 7층에서 열린 용산국제업무지구 공동협약식에 심우섭 서울도시주택공사 사장 직무대행(왼쪽부터 시계방향), 오세훈 서울시장,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한문희 한국철도공사 사장이 참석했다. /박지윤 기자
용산국제업무지구 일대 개발계획도. /박지윤기자

국토교통부(국토부)는 서울시,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함께 28일 오후 2시30분 용산국제업무지구를 서울의 새로운 비즈니스 중심지로 조성하기 위한 협력 사항을 담은 공동협약서를 체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날 서울시는 49만5000㎡ 규모의 용산정비창 일대를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하고 개발계획을 고시했다.

용산정비창 일대 도시개발사업은 서울 용산구 한강로 3가 40-1 일대 49만4601㎡ 부지를 업무·주거·상업시설로 이뤄진 콤팩트 시티로 복합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정부는 용산국제업무지구와 지구 주변부에 총 1만3000가구의 신규 주택을 공급할 방침이다. 지구 안에는 국제업무기능에 적합한 정주환경을 조성하고, 고밀복합개발의 효율성을 고려한 주거시설 6000가구를 짓는다.

지구 밖 반경 1㎞ 안에는 용산 도시재생혁신지구 등 공공주도 사업을 신속 추진하고 재개발‧재건축 등 민간주도 사업을 지원해 7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산호아파트(93가구), 원효로3가 청년안심주택(988가구), 용문동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929가구), 용산전자상가(1123가구), 용산도시재생혁신지구(600가구), 신용산역 북측1(192가구), 신용산역 북측2(305가구), 용산철도병원부지(602가구), 아세아아파트(849가구), 정비창전면1(1052가구), 정비창전면3(107가구), 이촌1구역(262가구) 등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 광역교통개선대책. /국토교통부 제공

정부는 서울 용산을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미래 중심지로 조성해 싱가포르, 홍콩을 능가하는 아‧태 비즈니스 3대 거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대통령실 이전, 용산공원 조성과 함께 정치(대통령실), 경제(용산국제업무지구), 문화(용산공원) 기능을 연결하고 시너지를 강화할 수 있는 랜드마크를 조성할 계획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공원을 잇는 입체보행녹지 ‘용산게이트웨이’ 사업도 구체적인 계획을 내년 10월까지 마련할 방침이다. 용산을 전체적으로 조화롭게 개발할 수 있도록 서울시와 국토부가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중심공간인 그린스퀘어(8만㎡ 공중공원)에는 공연장, 전시관, 도서관 등을 연계한 복합문화공간과 야외공연장(최대 1만석)도 마련한다.

최첨단 교통, 물류, 도시서비스 등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조성 등을 통해 2050년까지 용산국제업무지구를 미래도시 선도모델인 에너지자립도시로 육성할 계획이다.

개발사업으로 인한 주변부 교통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광역교통개선대책에 총 3조57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도로기능을 강화하고 철도중심의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도로 신설·확장, 교차로 개선, 한강 보행교 등 17개 사업을 추진한다. 내년 상반기에 관련 용역을 발주해 2030년부터 단계적으로 준공할 방침이다.

내년 말 도로, 공원 등 부지조성 공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부지를 분양받은 민간사업자 등이 2028년부터 건축물을 지을 경우 이르면 2030년부터 기업과 주민이 입주를 시작할 예정이다.

정부는 서울시, 사업시행자(예정자)와 공동협약을 통해 성공적인 협력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건축물의 용도와 밀도 규제가 없는 화이트존인 ‘도시혁신구역’을 지정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공간조성과 고밀 복합개발을 유도한다. 기업 유치 역량이 있는 핵심투자자 유인장치 마련, 글로벌기업 직접 개발 시 장기토지임대 검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 강화 등을 검토하고 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서울 중심에 위치한 대규모 국가 소유부지를 미래 새로운 중심지로 개발하려는 국가 전략사업으로 한국의 경제적 위상과 국민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서울시, 관계부처 등과 함께 국가적 역량을 투입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