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 아파트 임차인이 지불한 평균 월세 금액이 100만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모습/뉴스1

11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아파트 월세(전세보증금은 제외) 계약을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거래된 서울 아파트 평균 월세금액은 102만원이었다. 이는 지난 2021년 평균 90만원에 비해 12만원(13.3%) 오른 것이다. 작년 98만원과 비교해도 4만원이 올랐다.

월세 금액이 상승한 것은 올해 전셋값이 오른 데다, 고금리 여파로 전세를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전월세전환율이 동반 상승한 영향이 크다. 실제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월세전환율은 2021년 평균 4.1%에서 지난해 4.3%로 올랐고, 올해 들어서는 평균 4.7%로 올랐다.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보증금 반환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고액 전세 임차인들이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돌린 영향도 있었다. 특히 100만원 초과 고액 월세 비중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아파트의 100만원 이하 월세 비중은 2021년 71.7%에서 지난해 68.3%로 줄었다. 올 들어 11월까지 66%로 더욱 줄었다. 반면 2021년 28.3%였던 100만원 초과 월세 비중은 지난해 31.7%에서 올해 34%로 늘었다.

특히 최근 3년간 500만원 초과 초고가 월세 비중은 큰 변화가 없는 데 비해, 100만원 초과 500만원 이하의 비중은 2021년 27.6%에서 지난해 30.8%, 올해는 33%로 늘었다.

구별로는 용산구의 월세 평균(208만원)이 가장 높았다. 나인원한남과 한남더힐 등에서 고액의 월세 계약이 많았다. 또 아크로리버파크, 반포자이 등 고가주택이 많은 서초구(176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그 다음으로 성동구(172만원), 강남구(156만원) 순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