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비구역 해제 이후 활력을 잃었던 장위뉴타운 재개발 사업이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 조합 내 갈등으로 사업이 지지부진했던 곳은 어느새 착공을 앞두고 있고, 뉴타운에서 해제됐던 곳들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재개발 사업을 진척시키고 있다.

서울 성북구 장위동 '장위 11구역' 내 한 골목 / 김송이 기자

1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성북구 장위4구역 재개발 조합과 GS건설은 최근 성북구청에 착공 신고서를 제출했다. 지난 2017년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후 약 5년 만이다. 장위4구역은 재개발 사업을 통해 31개 동 총 2840가구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장위4구역 조합 관계자는 “이르면 다음주 중 착공신고 승인이 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면서 “사업 지연에 대한 조합원 불만이 많은 만큼 최대한 빨리 착공할 계획”이라고 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안에 장위4구역 조합이 일반분양(1331가구)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장위 4구역은 조합 내 갈등으로 수년 간 사업이 정체됐던 곳이다. 재작년 공사비 증액 문제를 두고 조합과 입주예정자협의회 간 갈등이 이어지다 기존 조합장이 해임됐다. 이후 새 조합장이 선출되면서 사업계획변경인가를 다시 받고, 사업에 속도가 붙었다.

장위뉴타운은 지난 2005년 서울 성북구 장위동 일대 186만7000㎡의 땅을 15개 구역으로 나눠 아파트 2만3846가구를 짓는 계획으로 출발했다. 당시 ‘서울시 최대’ 규모 뉴타운으로 관심을 받았지만, 12구역을 시작으로 8·9·11·13·15구역 등 총 6구역이 뉴타운 사업을 접게 됐다.

이미 장위뉴타운 내 4개 구역은 재개발 사업을 마치고 입주를 완료한 상태다. 2구역 ‘꿈의숲코오롱하늘채(2017년10월 입주)’, 1구역 ‘래미안장위포레카운티(2019년6월 입주)’, 5구역 ‘래미안장위퍼스트하이(2019년9월 입주)’, 7구역 ‘꿈의숲아이파크(2020년12월 입주)’ 등이다.

해제된 구역들도 작년부터 다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정부의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된 8·9구역은 현재 사업 절차가 진행 중이다. 8구역은 지난달, 9구역은 작년 11월 정비계획 입안을 위한 주민 동의율(66.7%)을 확보했다.

12구역은 작년 8월 정부의 공공 복합 사업 6차 후보지로 선정돼 총 1188가구 규모의 새 아파트로 변신할 계획이다. 장위15구역은 조합 설립에 필요한 주민 동의율(전체 75% 이상)을 웃도는 80%의 동의율을 확보하고, 작년 12월 조합 설립을 위한 창립 총회를 개최했다.

장위 15구역 재개발 추진위원회 관계자는 “지난달 말 성북구청에 조합 설립을 신청했다”면서 “이르면 이번 달 안에 조합 설립 인가가 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15구역은 박원순 전 서울시장 시절인 지난 2018년 5월 ‘뉴타운 출구전략’으로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곳이다. 이후 작년 1월 서울시를 상대로 한 정비구역 해제 무효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사업 재추진의 동력을 얻었다.

나머지 장위11·13구역 재개발추진위원회는 현재 공공재개발 2차 후보지 공모에 참여하기 위한 주민 동의서를 접수하고 있다. 이들 구역은 앞서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후보지 공모에서 탈락하면서 공공재개발로 방향을 틀었다.

다만, 13구역은 재개발 방식을 두고 두 개의 재개발 추진위원회가 대립하고 있다. 통합재개발 추진위는 13구역 전체를 통으로 재개발하겠다는 입장이고, 공공재개발 추진위는 신축 빌라가 들어서면서 노후도가 낮아졌다며 여러 구역으로 쪼개 공공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공공재개발 추진위 관계자는 “현재 주민동의율 25%를 달성한 상태인데, 조만간 2차 공공재개발 후보지 주민 동의율 요건(30%)을 채울 것”이라면서 “13구역은 가로주택정비사업 조합도 여러개 있고, 신축 빌라도 꽤 들어선 상태라 구역을 나눠서 재개발을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