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지난 8월부터 윤석열 정부의 계엄 준비 또는 기획 의혹을 꾸준히 제기했다. 당시 구체적인 근거를 제기하지 못해 ‘정치 선동’이라는 비판을 받았고, 대통령실도 ‘가짜 뉴스’라고 일축했다. 그러나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이 의혹은 현실화됐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지난 9월 1일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의 회담 모두발언에서 “최근 계엄 이야기가 자꾸 나온다. 종전에 만들어졌던 계엄안을 보면, 계엄 해제를 국회가 요구하는 걸 막기 위해 계엄 선포와 동시에 국회 의원을 체포·구금하겠다는 계획을 꾸몄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했다. 당시 대통령실은 “있지도 않고, 하지도 않을 계엄령을 주장하는 것은 정치공세”라고 반박했다.
민주당에서는 김민석 최고위원이 계엄 의혹에 가장 적극적이었다. 김 최고위원은 윤 대통령과 같은 충암고등학교 출신인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여인형 방첩사령관 등이 만남을 가진 점을 문제 삼았다. 특히 윤 대통령의 충암고 1년 선배인 김용현 전 대통령 경호처장이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되면서 ‘충암파’의 계엄 준비 의혹을 계속 주장했다.
같은 당 김병주 의원도 김 장관 발탁을 두고 “윤석열 탄핵 상황이 오면 계엄을 선포하는 것이 우려된다. (충암고) 친정 체계가 구축되면 그런 것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9월 계엄 선포 요건을 강화하는 내용의 일명 ‘서울의 봄 4법‘을 발의하기도 했다. 법안은 전시가 아닐 때 계엄을 선포할 경우 국회 재적의원 과반 출석과 출석의원 과반 찬성의 동의를 받도록 해 계엄선포권의 남용을 방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할 경우 72시간 내에 국회의 사후 동의를 얻도록 해 계엄 유지 요건도 강화했다. 계엄령 선포 중 국회의원이 현행범으로 체포 또는 구금된 경우에도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다만 김 최고위원은 근거를 제시하라는 여권의 공세에는 침묵했다.
당시 대통령실은 이런 민주당의 의혹 제기에 ‘가짜 뉴스’, ‘유언비어’라며 강력하게 비판했다. 정혜전 대통령실 대변인은 당시 브리핑을 열고 “날조된 유언비어를 대한민국 공당 대표가 생중계로 유포한 사실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며 “나치, 스탈린 전체주의 정치를 닮아가고 있다. 국민들에게 국가 전체를 뒤흔들 수 있는 탄핵, 계엄령을 일상화시키고 세뇌시키는 선동에 불과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