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5일 베이징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이 등장한 것과 관련, “축제가 열리는 시기이기는 한데, 축제의 시간을 문화공정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나 하는 일각의 시각에 중국 정부는 답해야 한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5일 경남 창원시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경남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현대로템 공장에서 경남 지역 공약을 발표한 뒤 기자들과 만나 전날 밤 페이스북에 ‘문화를 탐하지 말라 문화공정 반대’라는 글을 올린 것에 대해 “문화공정을 용납할 수 없다는 제 의지와 생각을 이번에 전달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과거 역사공정을 통해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의 자존심을 훼손한 사례가 있다”며 “그 후에도 계속 동해안, 서해안에 불법 어로를 방치해 특히 어민들의 분노를 산 일이 있다”고 했다.

이어 “최근 다시 문화공정이라는 우리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대국으로서 과연 이래야 하냐는 의심이 들 정도로 납득하기 어려운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다”며 “김치, 한복 심지어 특정 세계적 스타 연예인이 어디 출신이다, 이런 얘기까지 할 정도로 문화공정이라는 게 심각하게 우리 자존심을 훼손하고 있다”고 했다.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 입장식에 참여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전날 오후 9시(한국 시각)부터 진행된 베이징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선 행사 초반 손에서 손으로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전달하는 ‘국기 릴레이’가 진행됐다. 어린이, 사회 지도층, 국가 훈장·명예 칭호 수여자와 중국 전역 56개 소수민족 대표가 참여해 오성홍기에 대한 애정과 유대감을 표했다.

이 과정에서 논란이 된 장면이 등장했다. 반짝거리는 분홍색 치마와 흰색 저고리로 구성된 한복을 입은 여성의 모습이 화면에 잡혔다. 긴 머리를 하나로 땋아 댕기로 장식하고 있었다. 한복을 입은 여성이 중국 소수민족으로 등장해 오성홍기를 전달한 것이다.

페이스북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