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선 공약 작업을 주도하는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이 16일 출범했다. ‘제조업 AI 대전환’과 ‘에너지 공급망 혁신’을 양대 축으로 하되, 34개 분과로 정책을 세분화해 산업 경쟁력을 육성하는 게 골자다. 대규모 재정은 정부 주도의 펀드로 마련하겠다고 했다.
유종일 성장과통합 상임공동대표는 이날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다시 빛나는 대한민국, 성장과통합’ 출범식에서 “AI 기반 기술혁신과 에너지 대전환을 통해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데 정책개발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성장과통합은 집권 비전으로 ‘3·4·5 성장 전략’(3% 성장률·4대 수출강국·1인당 국민소득 5만달러)을 제시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장 출신인 유 대표는 이 전 대표가 성남시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서민 부채 탕감을 목적으로 설립된 주빌리은행의 은행장을 지냈다.
유 대표는 “제조업을 혁신해야 성장 동력을 회복할 수 있다”면서 “AI 대전환을 전 산업에 접목해 생산성을 높이면, 성장 과정에서 더 많은 기회를 만들고 그 과실을 분배하는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고 했다. 첨단 과학기술 주력산업 분야 기술 개발·인재 육성·투자에 정부와 민간기업이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A2G 퀀텀 프로젝트’도 제안했다.
특히 이 전 대표가 ‘중도층 견인’ 핵심으로 꼽은 부동산 정책과 관련해 “시장원리에 어긋나지 않게 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을 가리킨 발언이다. 유 대표는 “시장과 맞서 싸우는 정책은 좋은 의도로 하더라도 성공하기 어렵다”면서 “민주당 정부가 들어서면 과거 악몽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는 것 알고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저층 주민센터·문화센터 등 공공시설을 주상복합 형태로 개발해 주택을 공급하고 ▲대학 캠퍼스 부지에 청년 전용 주택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허민 상임공동대표는 “수도권 100여개 대학과 지방 거점 국립대학 부지를 활용해 학생 주거를 해결할 정책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창립 회원수만 500여명인 ‘성장과 통합’은 각 분야 학자 및 전직 관료가 주축이 된 집단이다. 싱크탱크에서 이 전 대표의 대선 공약 밑그림을 그리면, 당 정책위원회가 최종 검토해 선별한다. 이날 출범식에는 김민석·전현희·이언주 최고위원과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 등 지도부, 이재명 캠프 정책본부장인 윤후덕 의원과 정성호·안도걸 의원, 이한주 민주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