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제21대 대선 경선 규칙(룰)을 권리당원 50%, 여론조사 50% 국민참여경선 방식으로 확정했다. 비명(非이재명)계 대권 주자들은 기존 경선룰인 선거인단 중심의 국민경선을 주장한 가운데, 결국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이 될 것이라는 비판을 피하지 못하게 됐다.
민주당은 14일 오후 국회 당대표회의실에서 중앙위원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경선룰을 의결했다. 이는 지난 19·20대 대선 때 채택한 국민경선 대신 국민참여경선으로 경선룰을 변경한 것이다.
앞서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권리당원 50%, 여론조사 50% 국민참여경선을 21대 대선 경선룰로 잠정 확정했다. 중앙위에 상정된 특별당규 제정의 건은 권리당원 114만749명 중 38만9033명이 참여해 96.64%가 찬성했다. 중앙위원은 590명 중 510명이 참여해 96.47%가 찬성했다. 합산 찬성률은 96.56%다.
국민참여경선은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애초 민주당 특별당규준비위는 국민참여경선을 유력한 방안으로 검토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선 기간도 짧고 보수층이 일반 국민으로 참여해 유력 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경선을 방해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이유다.
반면 국민경선은 일반 국민이 선거인단으로 경선 투표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주로 비명계 후보들이 선호했다. 권리당원 참여 비중이 높아지게 되면 당심을 장악한 이 전 대표에게 유리한 경선이 되기 때문이다. 또 앞서 19·20대 대선에서 국민경선을 채택한 만큼 이번 대선에도 적용하는 데에 무리가 없다는 주장이다.
민주당이 국민참여경선을 경선룰로 정하자 비명계 주자들은 일제히 반발했다. 특히 당 특별당규준비위가 후보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며, 경선이 이재명 전 대표 추대식과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
김두관 전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후보들과 협의 없는 경선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며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배제한 민주당 경선 참여를 거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