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식품·외식 물가 안정을 위해 가격 인상 시기 이연·분산 등을 업계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농수산물 가격 안정화를 유도하는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도 다음 주 발표할 예정이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최근 물가 동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 품목별 가격 동향 및 대응 계획 ▲농수산물 유통 구조 개선 추진 상황 ▲민생 밀접 분야 시장 감시 강화 및 제도 개선 추진 상황 등이 논의됐다.
김범석 기재부 차관은 회의에서 “최근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 상승세가 완화되고 있지만, 배추와 무 등 일부 채소류 및 식품·외식 등 분야에서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 부담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국민 생활과 밀접한 먹거리 가격 안정을 위해 범부처 차원에서 총력 대응할 것”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식품·외식 물가 안정을 목적으로 식품 원자재 할당관세 부과, 구매 자금 지원 확대, 커피 및 코코아 수입 부가세 면제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지속하기로 했다. 또 농식품부 주도로 업계와 협력해 가격 인상 시기를 최대한 연기하거나 분산하고, 인상률 및 제품 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 나갈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농수산물의 유통 구조를 개선해 소비자 편익을 높이기 위한 ‘농수산물 유통 구조 개선 방안’ 추진 상황도 점검해 다음 주 중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는 유통 경로 다양화를 통한 경쟁 촉진과 유통 단계별 비용 절감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김 차관은 최근 경북 의성 등지에서 발생한 산불과 관련해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긴밀히 협력해 주민 안전 확보와 농축산업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지역 농산물의 수급 상황도 철저히 점검해 적기에 대응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