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아침 신안 압해읍 송공리 앞바다에 설치된 김 양식장에서 어선이 김 채취작업을 하고 있다. /윤희훈 기자

정부가 국제 마른김 거래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김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체계적인 김 유통 시스템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는 정부 주도로 국제 마른김 거래소를 설립하고, 해외 수입상과 마른김 생산업자를 연결할 방침이다.

27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해수부는 국제 마른김 거래의 효율화 방안 용역을 진행한 뒤, 이를 바탕으로 정부 주도의 국제 마른김 거래소를 설립할 계획이다.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수산업 협동조합법 ▲수산물 유통법 등에 국제 마른김 거래소의 운영 방식이나 거래소 지원 방안을 규정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해수부가 국제 마른김 거래소 설립을 추진하는 이유는 ‘깜깜이 거래’ 관행 때문이다. 현재 마른김 생산자들은 물김을 구매해 마른김을 만들고, 이를 국내 유통업체나 해외 수입상에 판매한다. 해외 수입상은 여러 마른김 제조·유통업체를 돌며 물량을 사들여 산지 시세를 알 수 있지만, 마른김 생산자들은 품질에 따른 김 가격을 명확하게 알기 어렵다. 김 등급과 같은 명확한 기준이 없어 수입상, 유통업체, 생산자 간 협상에 따라 김 가격이 들쭉날쭉한 상황이다.

정부는 ‘정보의 비대칭 구조와 김 등급제 미비로 마른김 생산자들이 제값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해외 수입상과 마른김 생산자가 국제 마른김 거래소를 통해 거래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거래소는 가격이 투명한 김 시장을 구축해 김 생산자들이 제값을 받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정부가 국내외 김 수급을 안정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정부는 또 서천군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한 국제 마른김 거래소 사례를 참고해 대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충남 서천군은 지난해 초 국제 마른김 거래소를 개소하고, 해외 수입상과 국내 마른김 생산자를 초청해 거래를 진행했다. 그러나 두 차례 시범운영 후 예산 부족으로 문을 닫았다. 당시 충청남도의 마른김 생산자들은 이미 거래하는 국내 유통업체나 해외 수입상이 있어 참여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마른김 생산자들은 현물 거래로 이뤄지는 기존 거래와 달리, 정산이 늦어 물김 구매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호소했다. 이재영 전국 마른김 생산자 연합회장은 “국제 마른김 거래소가 성공하려면, 많은 생산자와 수입상이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국제 마른김 거래소에 김 품질 등급제를 연동할 계획이다. 현재 김 품질 등급제와 김 거래소를 모두 구축한 일본의 사례도 참고할 예정이다. 일본은 반찬용 김, 초밥용 김, 간식용 김 등 종류를 세분화해 등급을 관리한다. 감별사가 등급을 부여하면, 그 등급에 따라 마른김을 매매하는 시스템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일본의 경우, 물김 생산자가 가공업을 같이 하는 등 한국 유통 구조와는 다르다”며 “이를 고려해 국제 마른김 거래소 운영 방안에 참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