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약 2223억원을 투자해 친환경 선박 81척 건조·전환을 지원한다.

30일 해양수산부는 ‘제1차 친환경선박 개발·보급 기본계획(2021∼2030)’에 따라 ‘2025년 친환경 선박 보급 시행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친환경 공공선박인 수산과학조사선. /뉴스1

정부는 공공부문에서는 선박 건조 시 친환경 선박 건조를 의무화하고, 민간부문에서 친환경 선박 건조 시 선가의 최대 30%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공공선박 118척, 민간선박 81척 총 199척의 선박을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건조 또는 개조)했다.

올해는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과 함께 약 2223억원(국비 1635억원, 지방비 등 588억원)을 투자해 총 81척(건조 54척·개조 27척)의 친환경 선박 건조 또는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공공부문은 총 34척을 친환경 선박으로 건조해 온실가스를 저감하고, 운항 중인 선박 15척은 미세먼지 저감장치(DPF)를 설치해 미세먼지 발생을 줄인다. 민간부문에서는 20척 건조를 지원하고, 12척은 친환경 설비 설치 시 이차보전 등 금융지원을 지속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해수부는 이달 30일부터 오는 3월 27일까지 ‘2025년도 1차 친환경 인증선박 보급 지원사업’의 대상자를 모집한다. 지원 대상은 전기추진,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추진 등 친환경 인증선박을 발주하는 중소형 연안선사 등이다. 대상자로 선정되면 인증 등급 및 선박 건조비용에 따라 선가의 최대 30%에 해당하는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친환경 선박 전환을 위해 중소선사 등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를 통해 해운분야 온실가스를 대폭 줄이는 한편, 강화되는 국제 탈탄소화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