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가계대출 문턱이 지난해 4분기보다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기업 대출은 여전히 깐깐할 것으로 예상됐는데, 특히나 신용위험이 커진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은행의 대출태도 종합지수(-1)는 전 분기(-27)보다 26포인트(p)나 올랐다. 한 분기 사이 ‘강화’ 의견이 크게 줄어 ‘완화’ 의견과 거의 비슷해졌다는 뜻이다.

서울시내 은행 대출창구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뉴스1

한은은 이 조사에서 금융기관 대출태도, 대출수요, 신용위험에 대한 평가(크게 완화·증가-다소 완화·증가-변화 없음-다소 강화·감소-크게 강화·감소)를 가중 평균해 100과 -100 사이 지수로 산출한다. 지수가 양(+)이면 ‘완화(대출태도)’·'증가(신용위험·대출수요)’를 꼽은 금융기관의 수가 ‘강화’·'감소’보다 많은 상태고, 음(-)이면 반대다.

대출 주체별로 나눠보면, 특히 가계 주택대출과 가계 일반대출(신용대출 등)에 대한 태도 지수가 각각 6과 3으로, 작년 4분기 뚜렷한 강화 우위(-42·-39)에서 완화 우위로 돌아섰다. 한은 관계자는 “생활안정자금과 주택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담보대출, 비대면 신용대출 등에서 가계대출 태도 완화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기업에 대한 대출 태도는 여전히 강화를 유지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태도 지수는 각 -3이었다. 다만 전 분기(-11·-17)와 비교하면 마이너스 폭을 크게 줄었다.

국내은행 차주별 대출행태지수. /한국은행 제공

대출 주체 중에서 신용위험지수가 가장 높은 곳은 중소기업으로 나타났다. 1분기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39로, 2022년 4분기(39) 이후 최고치다. 취약 업종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출 연체율이 많이 늘어난 결과다.

대기업(11→28), 중소기업(33→39), 가계(22→28) 모두에서 신용위험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늘었다. 국내 은행이 예상한 1분기 신용위험 종합지수는 34로, 전 분기(28)보다 6p 높아졌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의 신용위험은 업황 부진, 자금 사정 악화로 높은 수준이 이어질 것”이라며 “가계의 신용위험 역시 소득 개선 지연, 채무상환 부담 지속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축은행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경우 이번 설문조사에서 대체로 1분기 대출태도 강화 기조가 이어지고, 신용위험은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해 11월 26일부터 12월 6일까지 203곳 금융기관(국내은행 18곳·상호저축은행 26곳·신용카드 7곳·생명보험사 10곳·상호금융조합 142곳) 여신 총괄 책임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