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 설 연휴 기간 주요 공항 항공기 운항에 대한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 민·관·군 합동 특별교통대책반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의료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응급의료체계도 유지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설 명절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소방청 등은 각각 응급의료체계, 도로·철도·항공 안전대책, 선박·연안 여객선 안전대책, 설 명절 화재 안전대책에 대한 사전 점검에 나선다. 또한 중앙재안안전상황실을 중심으로 관계부처, 지자체 합동 24시간 비상대응체계를 운영한다.
교통안전을 위해 정부는 이동수단별로 재난 대비상황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먼저 이달 중 도로관리청별로 낙석·산사태 우려지역을 점검하고, 안내표지판을 보수·보강한다. 강설·한파에 대비해 제설제를 확보하고 제설인력·장비도 사전에 배치한다.
이날부터 오는 23일까지는 여객선 접안·승하선 시설 등을 대상으로 민관 합동점검을 실시한다. 오는 14~17일에는 국가철도 주요 역(40개소), 차량정비단(3개소), 차량사업소(5개소) 등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에 나선다. 정부는 설 연휴 국내 제작사 차량을 대상으로 한 무상 안전 점검도 실시한다.
오는 27~31일에는 인천, 김포, 제주, 김해 등 주요 공항에서 항공기 운항 현장 점검에 나선다. 오는 24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는 민·관·군 합동 특별교통대책반 구성해 운영한다. 정부는 지난 2~8일 이·착륙시설, 항행안전시설 등 공항 주요시설물을 점검한 바 있다.
또한 정부는 설 연휴 기간 응급의료체계를 유지한다. 중증응급환자 이송 병원을 선정하고, 전원을 조정하기 위해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을 운영한다.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백 없는 의료체계를 운영하겠다는 방침이다. 응급의료포털, 복지부 홈페이지, 보건복지상담센터, 119구급상황관리센터, 응급의료정보제공앱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한다.
택배 물량 급증에 대비한 근로자에 대한 과로방지 방안도 추진한다. 오는 13~27일을 택배 특별관리 기간으로 지정해 간선기사, 배송기사 등 임시 인력을 추가 투입한다. CJ, 쿠팡, 한진, 롯데, 로젠 등 주요 택배사는 매주 추가인력 투입, 안전대책 시행 등을 보고해야 한다.
한파·화재·산불 등 사고 예방에도 집중한다. 다음달 27일까지 한파 대비 건강수칙을 안내하고 취약사업장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선박·항만·양식시설 등에 대한 한파 취약시설 점검도 강화한다. 전통시장, 대형마트, 역·터미널 등 명절 기간 다중이용 시설을 중심으로 화재안전조사, 불시단속에도 나선다. 산불에 대비해 산불방지 대책본부도 운영한다. 산불 위험지 입산을 통제하고 산악 기상관측망도 495개소 운영한다.
이외에도 정부는 연휴 기간 노숙인·노인·장애인 등을 집중적으로 보호할 계획이다. 연휴 기간 노숙인 무료급식 지원을 강화하고, 노숙인 시설과 지역 내 유관기관에 대한 비상대응체계를 편성한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취약노인 55만명에 대해서는 동절기 안전 확인 등을 강화한다. 거주시설 장애인에 대한 건강상태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지방자치단체-시설 비상연락망·24시간 근무체제를 유지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설 연휴 안전관리대책 세부 방안은 이달 셋째주에 별도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