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분기 산업대출 증가 폭이 전분기보다 축소됐다. 화학업종의 운전자금 수요 확대에도 금융·보험업을 중심으로 여신전문금채권(여전채) 발행이 증가하면서 서비스업 대출 증가 폭이 줄어든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3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모든 산업 대출금은 1958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보다 17조4000억원 증가했다. 분기별 산업대출 증가 폭은 지난 2분기(+25조원)보다 축소됐다.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모습. /뉴스1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의 3분기 말 대출 잔액은 485조원으로 2분기 말보다 8조8000억원 늘었다. 2분기 중에는 6조8000억원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증가 폭이 확대됐다. 화학·의료용 제품(+2조4000억원)과 전기장비(+1조5000억원), 기타 기계·장비(+1조7000억원)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3분기 말 서비스업 대출 잔액은 1249조8000억원으로, 2분기 말보다 7조5000억원 늘었다. 증가 폭은 2분기 13조5000억원에서 대폭 축소됐다. 부동산업 대출 증가 폭이 4조4000억원에서 4조9000억원으로 커진 반면, 금융 및 보험업 대출은 2조7000억원 증가에서 2조9000억원 감소로 전환됐다.

대출 용도별로는 3분기 운전자금이 3조1000억원, 시설자금이 14조3000억원 각각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예금은행의 3분기 증가 폭은 19조6000억원으로, 2분기(25조4000억원)보다 축소됐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경우 2분기 4000억원 감소에 이어 3분기에도 2조3000억원 줄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3분기 시장금리가 하락하면서 여전채 금리가 낮아지고 발행 여건이 좋아졌다”면서 “여전사 대출 수요 일부가 여전채 발행으로 전환되면서 산업 대출금 증가 폭이 둔화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