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울 1·2호기 발전소 전경.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정부가 민간 기업과 함께 차세대 원자로 기술 확보에 나선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개발(R&D)을 본격화하기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고, 원전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한다.

정부는 27일 ‘제11차 원자력진흥위원회’에서 차세대 원자로 민·관 협력 추진전략과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연구개발 로드맵을 의결했다.

정부는 차세대 원자로 시장 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고온가스로, 용융염원자로, 소듐냉각고속로 등 다양한 노형별 원자로 개발을 추진한다. 민·관 합작 프로젝트를 통해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상용화 기반까지 마련한다.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는 사업 지연 없이, 적기에 상용화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가 협력한다.

차세대 원자로 개발단계에 따라 공동개발·기술이전·사업화 지원 등도 민간과 손잡고 추진한다. 특히 용융염원자로 등 차세대 원자로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사업화 지원 전담기관을 설립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노형별 맞춤형 시장선점 전략 등을 담은 ‘차세대 원자로 기술개발 및 혁신 전략’을 공개할 방침이다.

기술 개발부터 수요·공급 기업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운영한다. 민간의 기술적·재무적 위험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마중물로 정부가 R&D 재원을 공급한다.

국내 우수 대형 연구시설과 시험부지를 활용해 국내외 연구소와 기업 간 공동연구도 추진한다. 한국이 세계 최초로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한 소형 원자로 ‘스마트(SMART)’나 고온가스로 등 국내 독자 노형의 시장 진출을 모색할 방침이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단계별 기술개발 계획도 마련했다.

로드맵에는 운반·저장·부지·처분·부피저감·독성저감 등 6개 분야에 대해 전문가들이 분석한 요소기술 및 국내 기술수준, 기술개발 일정·방법, 소요 재원 등이 담겼다.

운반·저장 분야 기술은 중간저장시설 인허가 심사가 착수되는 2030년대 후반까지 기술을 확보하고, 부지 분야 기술은 향후 관리시설 부지선정 단계별 적용 기술을 순차적으로 확보하는 것으로 목표를 잡았다.

처분 분야 기술은 국내 방폐물·암반 특성을 고려한 한국형 처분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2050년대까지 기술을 확보하고, 특히 처분시설과 유사한 심도에서의 실험을 위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원전정책 정상화 및 원전산업 고도화에 따라 늘어날 원전산업 인력수요에 대응해 2030년까지 4500명의 원전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한다. 특히 양질의 고급인력 육성을 위해 원자력 유관 전공 대학·대학원을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또 탈원전 기간 해체·방폐물 등 후행주기 중심으로 추진된 원전 R&D도 미래(SMR)·시장(수출)·융합(연계)를 중심으로 기술개발에 나선다.

한국형 원전 해외 수주를 위한 수출대상국 규제 충족기술, 기자재 수출 확대를 위한 수요국 맞춤형 기자재 개발 등에 대한 투자도 늘린다.

산업부 관계자는 “시장의 관점에서 국내 원전산업의 수출산업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할 것”이라며 “그동안은 정부가 원전 생태계 복원에 방점을 뒀다면, 앞으로는 원전업계의 질적 고도화에 방점을 두고 K-원전의 근간이 되는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개발 혁신을 총력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