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요소수 사태와 희토류 등 공급망 관련 이슈에 대응할 공급망안정화위원회가 오는 6월 출범할 예정이다. 중국의 경기 둔화와 미국의 대통령 선거 등 대외 변수에 따라 공급망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12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공급망안정화위원회를 오는 6월 문을 열고 경제안보공급망기획단(이하 공급망기획단)을 정규조직으로 편성하는 등 후속 조치를 추진 중이다.
공급망기획단은 중국의 급작스러운 요소 수출 금지로 차량용 요소수 등이 품귀 현상을 빚는 사태가 발생한 것을 계기로 만들어진 임시 조직이다.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 대외적 갈등으로 인한 공급망 이슈가 계속되자 1년 연장해 운영되며 2년간 기획단 형태를 유지했다.
공급망기본법이 제정된 이후 공급망기획단을 정규조직으로 승격해 공급망 이슈에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법의 핵심은 공급망안정화기금을 조성해 공급망 다변화를 시도하는 기업을 지원하고, 공급망 컨트롤타워인 공급망안정화위원회를 설치해 공급망 정책을 심의·조정해 나가는 게 골자다.
올해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회복되면서 경제 성장률은 전년보다 2% 초반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핵심 수출 사업인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이 포함된 전자기기·화학제품 산업에서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는 높은 상황이다.
게다가 미국의 대통령 선거에 따른 수출 상황 변화 등 다양한 변수가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품목과 원자재를 다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장기적인 연구개발(R&D) 등 기업 지원책이나 공급망 교란에 대응한 기금 활용 방식 등을 살펴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공급망기획단에는 기획재정부 직원뿐만 아니라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환경부 등에서 파견된 직원들이 근무 중이다. 기재부는 외교부와 행정안전부 등 타 부처 직원들을 충원해 약 30명 규모의 조직으로 승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