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과 관련한 지난 7년간의 자료를 모두 공개하며 “국민 여러분과 전문가들이 자료를 확인하고 직접 타당성을 검증해 달라”고 밝혔다. 원 장관은 23일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 ‘서울-양평 고속도로 모든 자료 공개’란 페이지를 개설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국토부는 고속도로 사업이 소모적인 정쟁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보도자료 12건 및 장관의 설명 동영상을 배포하고, 50여명의 기자들과 함께 현장 방문 및 설계사 질의응답 등을 진행했으나, 일각에선 여전히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며 “의혹을 해소하고 국민들에게 직접 검증받기 위해 개인 신상에 관련된 내용을 제외한 그간의 자료를 ‘전례 없이 모두 공개’한다”고 했다.
해당 페이지에는 2016년 8월 ‘제1차 국가도로종합계획’, 2017년 1월 ‘국가 고속도로 건설 계획’에 서울~양평 고속도로가 반영된 자료부터 지난 6월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이 공고되기까지의 모든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사업과 관련한 모든 공문서와 노선 관련 검토 자료, 관계 기관 협의 결과와 전문가 의견 등 총 55개의 파일이 첨부돼 있다.
원 장관은 “국민 여러분과 전문가들은 자료를 확인하시고, 타당성을 검증해 주시며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 질문해 주면 감사하겠다”며 “더 나은 대안이 있다면 누구든지 제안해주시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어 “국토부는 서울~양평 고속도로가 하루속히 정쟁의 대상에서 벗어나 정상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양평 고속도로 논란’은 2년 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해당 노선이 지난 5월에 갑자기 변경됐고, 그 이유가 이 노선의 종점인 양평군 강상면에 김건희 여사 일가의 땅이 있기 때문이라며 불거진 특혜 의혹이다. 야당은 ‘대통령 처가 고속도로 게이트로’ 규정한 반면, 여당은 고속도로 원안 노선 인근에 전 정부 인사들의 땅이 있다고 주장하며 ‘민주당 고속도로 게이트’라고 맞서고 있다. 원 장관은 논쟁이 지속되자 지난 6일 돌연 해당 사업의 ‘전면 백지화’를 선언하고,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국토부는 홈페이지 내 양방향 소통 플랫폼인 ‘온통광장(On통광장)’과 소셜미디어(SNS) 등 온라인 공간을 통해 관련 질문을 접수한단 방침이다. 원 장관은 질문에 대해 영상 또는 글을 통해 직접 답할 계획이다. 한편 오는 26일 열리는 국회 국토교통위에는 원 장관이 출석하기로 예정돼 있어, 서울-양평 고속도로 현안 질의를 통한 난타전이 이어질 것으로도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