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의 브레인으로, 국내 경제 정책 수립을 총괄하는 경제정책국의 책임자인 윤인대 국장이 지난 6일부로 ‘직무대행’ 꼬리표를 뗐다.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경제정책국장 업무를 시작한 지 5개월만이다.
전임이었던 김병환 국장이 새정부 출범과 함께 대통령 비서실 경제금융비서관으로 발탁되자 당시, 세계은행(WB) 파견 근무를 마치고 본부에 복귀해 상생소비지원금추진단장 등을 맡았던 윤인대 국장이 직무대행으로서 경제정책국장 업무를 이끌었다. ‘새정부 경제정책방향’과 ‘물가 대책’, 매주 단위로 열리는 ‘비상경제회의’ 의제가 모두 그의 손을 거쳤다.
1969년생으로 올해 53세인 윤 국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행시 39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경제정책국 사회정책과장, 재정기획과장, 경제분석과장, 종합정책과장 등 정책 업무를 주로 담당했다. 경제정책국에서 과장 직위를 주로 거쳤지만, 예산실에서 사무관 생활을 거친 경험이 있어, 재정과 거시경제정책를 두루 다뤘다는 장점이 있다.
기재부를 사실상 이끄는 직위인 경제정책국장이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된 것은 윤 국장이 부이사관(3급)에서 고위공무원단(2급 이상)으로 승진이 안된 상태였기 때문이다. 고위직 인사적체로 기재부 소속 고위공무원단 인원이 인사직제상 정원을 초과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기재부 내에서 고위공무원단 승진 인사가 불가능한 구조였다.
정부 직제 시행규칙과 행정안전부의 정부조직관리지침은 각 부처별 기구와 고공단 인원수를 제한한다. 보직을 받지 못한 고위직 관료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새로운 인물이 고공단에 합류하기 위해선, 기존 인물이 면직되거나 타 부처로 전출돼 고공단에 자리가 나야 한다는 얘기다.
윤 국장의 승진은 문재인 정부 5년 간 청와대 총무비서관(1급)을 지낸 이정도 전 비서관의 면직으로 고공단에 빈자리가 생기면서 가능해졌다. ‘비(非)고시·7급 신화’로 유명한 이 전 비서관은 새정부 출범 후 친정인 기재부 본부로 돌아왔지만, 보직을 받지 못했다. 4개월 이상 무보직을 전전한 그는 사직 의사를 밝혔고, 지난달 27일 정식으로 면직 처리됐다. 이 전 비서관은 최근 외부기관의 기관장으로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기재부에선 이대희 전 경제구조개혁국장이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 한경호 전 사회예산심의관이 방위사업청 미래전력사업본부장 등 타 부처의 고위직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인사 적체가 다소 해소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와 관련, 한 기재부 관계자는 “정권 출범 초기만 해도 외부 파견에서 복귀한 고위직 인원들이 몰리면서 인사 적체가 심각해 후배 기수들의 승진 인사가 계속 밀려왔다”면서 “타부처 파견이나 국제기구·지자체 근무 등으로 인사 적체가 상당 부분 해소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성욱 국제금융국장의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 승진·발령 인사로 공석이 된 국제금융국장 자리도 7일 최지영 경제안보공급망기획단 부단장이 임명됐다. 김 차관보 인사로 3주 가량 공석이었던 자리다.
인사 검증으로 인한 일시적인 공석이라는 게 기재부의 설명이지만, 관가에선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는 등 최근 외환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상황에서 담당국장을 비워두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인사라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최 국장은 지난달 29일 고위공무원단으로 승진이 되면서 전보 후보 대상이 됐다”며 “이후 인사 검증 절차를 밟아 최종적으로 국제금융국장으로 낙점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1970년생인 최 국장은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37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기재부에서 국제금융과장, 외환제도과장, 지역금융과장, 국제통화제도과장 등을 지낸 ‘국제금융통’이란 평가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