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2026년까지 외식산업의 혁신을 위해 1조원가량을 투자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20일 이런 내용을 담은 제3차 외식산업 진흥 기본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외식산업 진흥법에 따라 5년마다 진흥 정책 기본 방향 설정을 위해 수립하는 법정 계획이다.

국내 외식산업은 2020년 기준 사업체수가 80만개에 이르러 전 산업의 13.3% 비중을 차지하고, 매출액 140조원, 종사자수 192만명에 달하는 등 양적 성장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산업 구조 영세화, 혁신 미흡 등에 따라 생존률이 낮은 현실이다. 숙박음식점업의 5년 생존률은 20.5%로, 전 산업 31.2%에 크게 못 미친다. 여기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위기로 최근 경영난까지 가중되는 상황이다.

서울 시내 식당가 모습. /연합뉴스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향후 5년간 ▲외식 푸드테크 유니콘 기업 10개 ▲매출 1조원 이상 외식기업 5개 ▲외식기업 해외 매장 수 5000개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9259억원 수준의 재원을 이 기간 동안 투입할 예정이다.

과제별로 살펴보면, 먼저 외식산업 혁신을 위해 푸드테크 연구개발(R&D)과 상용화 지원에 나선다. 관련 스타트업을 적극 발굴하고, 자금 투자 판로 등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역별 외식거리에 2024년부터 조리·서빙 로봇, 키오스크 등 스마트 기술을 보급할 계획이다. 데이터와의 접목을 통해 외식업체 경영 개선을 꾀하기 위해 마이데이터 서비스 활성화에도 나선다. 배달로봇 보도 통행을 허용하거나, 현재 한식·중식 등 6개로 제한된 외국 인력 취업 허용 업종을 음식점·주점업 전체로 확대하는 등 규제 개선도 이뤄질 예정이다.

국내 외식산업의 글로벌화도 추진된다. 이를 위해 연 1회 이뤄지는 국가별 외식시장 동향, 식문화, 소스류 수출 통관 정보 등 정보제공이 올해부터 월 1회로 단축되고, 해외 유튜버 등 인플루언서나 여행사·항공사와 연계한 국내 외식산업 홍보도 추진될 예정이다.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023년 외식 서비스 품질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등급을 매기는 제도를 2024년부터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외식산업 혁신 플러스' 대책 요약.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외식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과 관련해선 국산 식재료 이용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2023년 구축 예정인 농식품온라인거래소와 농수산식품거래소(eaT) 시스템을 통해 외식기업과 생산자 조직의 식재료 직거래를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다. 외신산업을 지역 관광자원과 연계하고, 전국 농가맛집 184곳 등 메뉴의 간편식(RMR) 상품도 출시한다. 산업통상자원부·중소기업벤처부 등의 K-ESG 가이드라인을 준용해, 외식산업에 맞는 ESG 기준도 2023년까지 마련해 평가할 예정이다.

이 밖에 코로나 감염병 재유행과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 위기 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폐업 희망 사업자를 대상으로 폐업 부담 경감을 비롯해 재창업을 돕는 등의 지원에도 나선다. 또 올해 중 화재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매장별 컨설팅, 노후 가스·환기 설비 교체와 개보수를 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