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4.0% 수준으로 전망했다. 이는 앞선 5월 발표된 수정 경제전망에서 제시된 전망치와 동일한 수준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민간소비가 타격을 입었지만, 수출 호조와 백신접종 확대 등으로 회복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그러나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월 발표한 1.8%에서 2.1%로 0,.3%p(포인트) 상향했다. 특히 올해 하반기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은의 물가안정목표인 2%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 올해 하반기 내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2%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이라고 본 정부의 물가 전망이 어긋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

26일 한은이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경제성장률은 2021년에는 4.0%, 2022년에는 3.0% 수준을 나타낼 전망이다. 한은 조사국은 “국내 경기는 당분간 코로나19 재확산의 영향을 받겠으나, 앞으로 백신접종 확대, 수출 호조 등으로 견실한 회복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민간소비는 감염병 재확산의 영향으로 회복흐름이 주춤하고 있으나, 향후 백신접종 확대, 추경 집행 효과 등으로 점차 개선세를 보일 것이라 전망했다. 거리두기 강화 등으로 7월 들어 대면서비스 소비가 둔화된 가운데 재화 소비도 준내구재를 중심으로 회복세가 약화되고 있으나 백신접종 확대로 하반기 소비활동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한은 경제전망./한은 제공

설비투자는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IT부문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경쟁력 제고를 위한 투자가 꾸준히 이어지고, 비IT부문은 글로벌 경기회복, 신성장·친환경 부문 투자 증가 등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건설투자 역시 양호한 착공실적 등에 힘입어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점차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상품수출 역시 주요국의 경기회복 등의 영향으로 양호한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통관수출의 경우 IT 수출은 서버용 반도체 수요 확대,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등에 힘입어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비IT 수출은 주요국의 경기 회복, 인프라 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호조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성장 전망은 앞으로 백신접종이 크게 확대되면서 금년 4분기 이후 경제활동 제한이 점차 완화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한은은 이에 따라 취업자수는 2021년 20만명, 2022년 24만명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 영향으로 증가세가 일시적으로 둔화되겠으나, 향후 백신접종이 늘어나고 경제활동 제한이 완화되면서 증가폭이 점차 확대된다는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1년 2.1%, 2022년 1.5%로 각각 전망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지난 5월 전망치 1.8%에 비해 0.3%p 상향됐다. 특히 상반기 1.8%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하반기에는 2,4%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농축산물가격과 국제유가 오름세가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고, 수요측 물가상승압력도 점차 확대되고 있어 물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김웅 한은 조사국장은 “물가 수치는 현수준의 유가나 환율 등을 기반으로 전망한 것”이라면서 “유가나 환율은 영향을 많이 미치기 때문에, 상방 리스크가 어느정도인지 구체적으로 단언하기 어렵다. 원유가 지금 수준에서 60달러 중반대를 기록한다는 전제하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1%로 전망했다”고 설명했다.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2021년과 2022년중 각각 820억달러와 700억달러로 전망했다.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은 금년중 지난해와 비슷한 4%대 중반을 기록하고, 2022년에는 3%대 후반으로 낮아질 전망이다. 상품수지는 상품수출이 증가하겠으나 유가상승 등으로 상품수입이 더 크게 늘면서 흑자폭이 축소되고, 서비스수지는 해운업 운임상승에 따른 운송수입 증대 등으로 적자폭이 축소될 전망이다.

한은은 향후 성장경로의 상방요인으로는 주요국 경제활동 재개 가속화, 국내 감염병 상황의 빠른 개선, 국내외 추가 경기부양책 등을 꼽았고, 하방리스크로는 국내외 감염병 확산세 심화, 중국 경제의 성장세 둔화, 글로벌 공급차질 회복 지연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