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광역철도, 광역도로, 광역버스 등 광역교통시설 122개를 5년간 구축하는 광역교통시행계획에 국비 7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5년전 대비 광역교통시행계획 투입 금액이 약 3조3000억원 증가했다.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이른 바 GTX D노선이 서울 강남으로 직결되지 않는 데에 반발하는 인천·김포 시민들을 달래기 위한 광역철도 사업도 광역교통망계획에 담았다.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 인천2호선 안양 연장 등 지난 4월에 공개했던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담기지 않았던 사업들을 ‘추가검토사업’으로 반영해 확정했다. 광역철도 뿐 아니라 인천시 서구 대곡동과 김포시 마산동을 잇는 광역도로도 신규 사업으로 추가됐다.

수도권 광역철도 계획도./국토부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향후 5년간 권역별 광역교통망 계획을 담은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안(2021~2025)’을 대광위 심의를 거쳐 지난 5일 최종 확정했다고 6일 밝혔다.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은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5년 단위 중기 법정계획이다.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연구용역을 수행해 지난 4월 초안을 공개했고,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확정됐다.

이번 계획은 권역별 광역교통시설 및 통행 현황, 장래 여건 진단에 기초한 권역별 추진전략, 광역교통망 구축‧운영 계획이 담겼다. 이번 시행계획에 반영된 광역교통시설은 총 122개로 광역철도 41개, 광역도로 25개, 광역BRT 12개, 환승센터 44개 등이다. 2025년까지 광역교통시설사업에 국비 7조1000억원이 투자될 계획으로, 제3차 계획(3조8000억원)보다 3조원 넘게 국비 투자 규모가 늘었다.

수도권은 광역급행철도 및 광역BRT 등 광역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고,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국토부는 “기존 및 신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적기 추진, 인천2호선 고양연장, 동부BTX 및 서부BTX 등 신규 광역교통시설사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9일 확정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2021~2030년)’에서 GTX D가 김포 장기에서 부천종합운동장역 구간을 신설하고 GTX B노선을 활용해 용산으로 가는 것으로 확정되면서, 김포 주민들의 반발이 거셌다.

서울 강남 직결을 주장해왔던 관련 지자체 주민들과 지역구 의원들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GTX D는 철도망계획 초안에서는 김포와 부천 구간만 제시됐던 터라, 각 구간의 앞글자를 따 ‘김부선’으로 불렸다. 용산까지 이어지는 최종 계획이 확정되면서 김부선은 ‘김용선’으로 결론이 났다.

광역교통시행계획안에는 김용선 확정에 따른 김포·인천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달래기 위한 대책들이 대거 반영됐다. 우선 광역철도부문에는 인천2호선 안양 연장, 서울5호선 김포검단 연장 등이 추가검토사업으로 반영됐다. 추가검토사업이란 장래 여건변화 등에 따라 추진검토가 필요한 사업을 말한다.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의 경우, 노선 계획 및 차량기지 등 관련 시설에 대한 지자체(서울시·김포시)간 합의 시 타당성 분석을 거쳐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수도권 광역도로‧광역BRT‧환승센터 계획도./국토부

광역철도 뿐 아니라 인천시 서구 대곡동과 김포시 마산동을 잇는 검단~대곡 광역도로도 신규 사업으로 추가됐다. 국토부는 “신도시 광역교통 개선대책을 적기에 추진하고, 광역급행철도와 연계해 환승센터를 적기에 구축하겠다”며 “합리적 광역교통 요금체계도 확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부산‧울산권의 경우 동해선(태화강~송정 구간) 등 일반철도를 광역철도로 활용하고, 부산~양산~울산 신규 광역철도를 추진한다. 또 광역도로, 광역BRT 확충 등으로 권역내 연계를 강화한다. 부산 미음~가락 신규 광역도로 및 울산송정역 등 4개 신규 환승센터를 추진한다. 광역환승할인 확대 및 통합요금제 시행도 추진한다.

대구권은 대구1호선 영천 연장, 대구 안심~경산 임당 광역도로 등을 추진한다. 광주권은 광주~나주 광역철도 등 신규 광역철도를 추진하고, 광주대촌~나주금천 등 광역도로를 확충하고 광역버스체계 통합요금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대전권은 대전~세종 광역철도, 대전 대덕특구~세종 금남면 광역도로, 세종~공주 및 세종~청주 광역BRT, 광역환승센터 등 전반적인 인프라 확충을 통해 원활한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