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신공항의 예상 수요와 사업비 규모 등에 대한 검증이 시작된다. 관련 내용을 연구할 사전타당성조사를 맡을 기관으로는 항공대가 선정됐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8일 조달청 나라장터에서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사전타당성검토 연구’ 용역 개찰 결과, 단독으로 응찰한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이 용역수행기관으로 정해졌다. 항공대 교수진과 유신, 한국종합기술 등 엔지니어링업체가 콘소시엄을 꾸렸다.
용역 기간은 계약 후 10개월로 내년 3월쯤 완료 예정이다 용역비는 약 18억원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4월 6일과 28일 두 차례 입찰공고를 냈다. 그러나 제안서를 접수한 곳이 항공대 컨소시엄뿐이어서 유찰됐다.
항공대 컨소시엄은 국토부와 계약을 마치는 대로 사타 용역에 착수하게 된다. 국토부가 제시한 ‘과업지시서’에 따르면 사타에서는 ▲가덕도신공항 건설 관련 각종 여건 분석 및 전망 ▲수요예측 ▲시설 규모 산정 ▲시설입지 및 배치 ▲총사업비 등 추정 ▲대안별 세부평가 및 최적 대안에 대한 타당성 평가 등이 이뤄진다.
가덕도신공항은 사업비 규모와 예상 수요에 대한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주장하는 부산·울산·경남(부울경)에서는 영남권 관문공항을 만드는데 7조5000억원이면 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국토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법안소위에 제출한 보고서는 건설 규모에 따른 3가지 시나리오별로 12조8000억~28조6000억원이 든다고 추정했다.
예상 수요 규모도 2배 이상 차이난다. 부산시는 2056년 기준으로 가덕도신공항의 국제선여객을 연간 4600만명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정부의 김해신공항예비타당성조사(예타)와 기본계획안의 예상치는 절반에 못 미치는 1940만명과 2006만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