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31일(현지시간) 수년간 잃어버린 인재들을 다시 확보하는 것이 현재 인텔의 우선 과제 중 하나라고 밝혔다. 이어 일하는 방식과 관료주의를 타파해 조직 문화를 혁신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탄 CEO는 이날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인텔 비전’ 콘퍼런스에서 “유능한 엔지니어를 채용하고 현재의 인재들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인텔 CEO로서 처음 공개 석상에 선 그는 이날 참석한 파트너사 등에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다”며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혁신에서 뒤처졌다”며 “변화에 적응하고 여러분의 요구를 충족하는데 너무 느렸다”고 인정했다. 탄 CEO는 그러면서 “일하는 방식을 단순화하겠다”며 관료주의를 타파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작고 집중된 팀이 기민하게 혁신하며 기존 기업을 인수하는 사례를 많이 봐왔다”며 “관료주의는 혁신을 죽인다”고 강조했다.
인텔 CEO를 맡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회사가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는 것은 힘들었다”며 “내가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 방관할 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미국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기업인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CEO를 지낸 그는 2022년부터 약 2년간은 인텔 이사회 멤버로도 활동한 바 있다.
하반기 1.8나노(18A) 공정의 차질 없는 가동도 재확인했다. 그는 “18A를 적용한 중앙처리장치(CPU)는 하반기 대량 생산에 들어가 연내 출하될 것”이라며 “새로운 첫 번째 외부 테이프 아웃(설계가 파운드리로 넘어가는 단계)에 접근하고 있다”고 했다. 18A 공정은 인텔이 2021년 파운드리 사업 재진출을 선언하며 야심 차게 추진하고 있는 공정이다. 현재 5나노 이하 파운드리 양산은 세계에서 TSMC와 삼성전자만 가능한데, 1.8나노는 두 회사가 양산 중인 3나노보다 앞선 공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