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 겔싱어 인텔 전 최고경영자(CEO)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미국에 1000억달러(약 146조원)를 투자하기로 한 것에 대해 비관적인 입장을 밝혔다. TSMC의 대규모 투자가 미국이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회복하는 데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겔싱어는 27일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미국에서 연구·개발(R&D)을 하지 않으면 미국이 반도체 리더십을 가져올 수 없다”면서 “TSMC의 모든 R&D 활동은 대만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이를 (미국으로) 가져오겠다는 발표는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차세대 트랜지스터 기술을 미국에서 설계하지 않는다면 미국이 반도체 리더십을 가질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적어도 TSMC와 같은 반도체 제조업체가 미국에 시설을 건설할 많은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미국에 점진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겔싱어는 미국의 대표적인 반도체업체 인텔을 이끌었으나 경영난이 지속되자 이사회의 압력으로 지난해 말 물러났다. 이후 양자 컴퓨팅과 새로운 반도체 제조 등 기술 분야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 플레이그라운드 글로벌의 임원으로 일하고 있다.
한편 올해 초 저비용 기술로 업계와 투자자들을 놀라게 한 딥시크에 대해 겔싱어는 “주요한 혁신이 아니라 좋은 기술공학(엔지니어링)이었다. 큰 돌파구는 아니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AI는 흥미롭지만 너무 비싸다”면서 “인류의 모든 측면에 적용될 수 있게 하려면 추론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