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업계 패러다임을 혁신하고 있는 대표 국내 고객 사례를 소개했다고 26일 밝혔다.
구글 클라우드는 커머스, 교육, 헬스케어, 여행,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 고객들이 최신 제미나이(Gemini) 모델과 인프라를 활용해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사례를 자사 블로그를 통해 공유했다.
커머스 분야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커머스 전환(AX) 전문 기업 인덴트코퍼레이션이 제미나이 모델을 활용한 ‘브이리뷰’와 ‘Spray’ 서비스를 통해 고객 응대 자동화, 리뷰 분석 및 캠페인 관리를 고도화한 사례가 소개됐다. 브이리뷰는 멀티모달 기능을 기반으로 텍스트 및 이미지 리뷰를 분석해 고객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AI 댓글 매니저 및 AI 추천 키워드 기능을 통해 브랜드 마케팅을 지원하고 있다.
윤태석 인덴트코퍼레이션 대표는 “브이리뷰의 AI 자동화 기능을 제미나이로 획기적으로 강화할 수 있었다”며 “1인 브랜드의 글로벌 진출을 돕기 위한 비전 아래 구글 클라우드와 협업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 분야에서는 매스프레소가 자사의 AI 학습 플랫폼 ‘콴다(QANDA)’에 제미나이 1.5 프로 및 2.0 플래시 모델을 도입해 실시간 맞춤형 교육 경험을 제공하는 사례가 공개됐다. OCR 기술 기반으로 문제를 인식해 풀이를 제시하며, 응답 속도 또한 대폭 향상됐다.
매스프레소 이용재, 이종흔 공동 대표는 “개인화된 학습을 지원하는 콴다 AI 서비스를 고도화해 글로벌 이용자에게도 양질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겠다”며 “구글 클라우드와의 협력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카카오헬스케어가 AI 기반 혈당 관리 앱 ‘파스타’와 병원 컨시어지 서비스 ‘케어챗’에 제미나이 2.0을 도입해 서비스 확장을 꾀하고 있다. 병원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구글 클라우드의 알로이DB(AlloyDB)를 활용한 의료 데이터 플랫폼도 구축 중이다.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는 “구글 클라우드의 오픈 모델 생태계는 다양한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한다”며 “AI 기술로 헬스케어 산업의 가치를 높여가겠다”고 전했다.
여행 및 레저 분야에서는 야놀자가 구글 클라우드와 데이터 기반 AI 파트너십을 맺고,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여행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AI 그라운딩 기술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여행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 커뮤니케이션 자동화와 같은 업무 효율화도 추진 중이다.
이준영 야놀자그룹 기술 총괄은 “글로벌 여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자적 AI 기술을 구축해 왔다”며 “버티컬 AI 서비스를 통해 여행 산업에 혁신을 더할 것”고 말했다.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는 엔씨소프트의 AI 기술 전문 기업 NC AI가 자체 언어 모델 ‘바르코 LLM(VARCO LLM)’을 구글 클라우드 TPU 기반으로 개발 중이다. LLM 학습 최적화는 물론, 제미나이와 젬마(Gemma) 등 오픈 모델을 활용한 고도화도 함께 진행 중이다.
이연수 NC AI 대표는 “국내 게임 업계에서 선도적으로 AI를 도입해 왔으며, 앞으로도 구글 클라우드와 협업을 확대해 글로벌 게임 산업 혁신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