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오픈소스 기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산업 발전과 개인정보 보호의 균형을 위한 지원 방안을 밝혔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4일 서울 강남구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엔스페이스에서 국내 AI 스타트업 관계자들과 만나 오픈소스 기반 AI 생태계의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현장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특히 최근 ‘딥시크(Deepseek)’ 등 글로벌 오픈소스 모델 등장으로 주목받는 국내 AI 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심과 정책적 지원을 약속하는 자리가 됐다.
오픈소스는 누구나 소스코드나 설계도를 확인할 수 있어 고성능 AI 모델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과학 기술 발전과 응용 서비스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AI 인력과 양질의 데이터를 보유한 국내 환경에 적합한 성장 기회로 평가되고 있다. 다만,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한 서비스의 추가학습이나 검색증강생성(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과정에서 개인정보 처리가 수반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간담회에 앞서 개인정보위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참석 기업 중 6곳은 오픈소스 모델 기반 응용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자체 보유한 이용자 데이터를 활용한 추가학습 또는 RAG 방식으로 성능 개선에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날 행사에는 스캐터랩, 모레, 엘리스그룹 등 AI 스타트업이 참여해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개발 사례와 경험을 공유했다. 스캐터랩의 하주영 변호사는 구글 젬마(Gemma), 딥시크 등 글로벌 오픈소스 모델의 국내 파급력에 대해 설명했으며, 모레의 임정환 사업 총괄은 한국어 답변 성능에 집중한 자사 언어모델과 개발 과정의 프라이버시 이슈를 언급했다. 이재원 엘리스그룹 최고정보책임자(CISO)는 자사 AI 클라우드 인프라 제품의 보안인증 사례와 오픈소스 모델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자유 토론 시간에는 AI 개발 시 이용자 데이터를 활용하면서 발생하는 법적 불확실성과 프라이버시 우려에 대한 다양한 건의가 나왔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원칙 기반 규율’ 하에서 마련한 ▲비정형데이터 ▲웹 크롤링 데이터 ▲자율주행기기 촬영정보 처리 기준 등을 소개하며, 데이터 활용 장벽 해소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도 함께 설명했다.
간담회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정보위는 중소·스타트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생성형 AI 도입·활용 안내서’를 개인정보 보호 관점에서 마련할 계획이다.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우리나라의 경쟁력 있는 AI 혁신 생태계 발전을 위해서는 오픈소스 이점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국내 기관·기업이 오픈소스 AI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