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본사 모습. /뉴스1

네이버가 직원들의 업무 능력을 평가하는 ‘레벨제’ 도입을 추진하며 조직 개편에 나선다.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의 경영 복귀를 앞두고 성과 중심의 조직 문화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25일 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전날 공지를 통해 레벨 기반 성장체계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 3월 5일 열리는 ‘HR SHARE’에서 제도 도입 배경, 세부 내용, 향후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2020년에도 레벨제 도입을 검토했으나 내부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근속연수와 관계없이 역량을 평가해 레벨을 부여하고 성과 보상과 연계하는 방식이지만, 당시 직원들은 성과 줄 세우기 및 스펙 경쟁 심화 가능성을 우려했다.

지난해 네이버는 중간 관리자 직급을 ‘책임리더’와 ‘리더’에서 ‘리더’로 통합하며 수평적 조직 구조를 강화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조직 내 역할과 위치가 불분명해지는 문제가 제기됐다. 레벨제가 도입되면 직원들이 자신의 위치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해진 창업자는 3월 26일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사내이사로 복귀한다. 글로벌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이사회에서 물러난 지 7년 만이다. 창업자의 복귀로 네이버의 주요 개혁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