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랩스 로고./로이터연합뉴스

네이버가 글로벌 투자 은행 모건스탠리가 선정한 ‘로봇 분야 100대 핵심 기업’에 포함됐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삼성, 현대차, LG 등이 같은 부문에 선정됐으며,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으로는 네이버가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16일 모건스탠리의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는 테슬라, 애플, 아마존, 삼성, 현대차, LG, 소니 등과 함께 주요 ‘휴머노이드 종합 기업’(인테그레이터)으로 분류됐다. 모건스탠리는 향후 10년간 휴머노이드 로봇이 주요 기술 투자 트렌드로 자리잡을 것이며 잠재적 시장 규모가 60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휴머노이드 산업을 ▲인공지능(AI) 칩 소프트웨어·반도체를 개발하는 ‘브레인’ ▲하드웨어를 제작하는 ‘바디’ ▲이 두요소를 결합해 완전한 로봇을 개발하는 ‘인테그레이터’ 등 3개 부문으로 나눴으며, 네이버는 주요 인테그레이터 기업 중 하나로 평가됐다. 네이버는 또한 혼다, 테슬라, 도요타 등과 함께 로봇 기술을 실제 업무 환경에 적용하고 있는 우수 기업으로도 꼽혔다.

네이버 측은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소프트웨어 중심의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주로 ‘브레인’ 부문에 포함된 것과 달리, 네이버는 ‘인테그레이터’로 선정됐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네이버가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실제 개발했을 뿐 아니라 거대언어모델(LLM),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로봇 OS 등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원천 기술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평가를 받은 것이라는 설명이다.

중국 기업 중에서는 전기차 업체 BYD(비야디), 알리바바, 텐센트 등이 인테그레이터 부문 포함됐다. 자동차, 전자, 로봇 등 첨단 제조업 기업들이 인테그레이터에 다수 포함된 가운데, 이커머스 및 인터넷 업계에서는 네이버를 비롯해 미국의 아마존, 중국의 텐센트, 알리바바 등이 선정됐다. 삼성은 메모리와 팹리스 부문 휴머노이드 브레인 기업으로도 꼽혔고,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분야 브레인 기업으로 선정됐다.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분야에서 휴머노이드 바디 기업에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