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로고. /조선비즈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소프트웨어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2023년도 소프트웨어(SW) 중심대학으로 13개 대학(일반 11개, 특화 2개)을 선정하고 각각 9억5000만원, 4억7500만원씩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2015년 시작된 SW 중심대학은 산업체 수요 기반의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개편, 소프트웨어 전공 정원 확대, 비전공자 대상 소프트웨어 융합교육 등을 통해 SW 전문·융합인재 양성을 주도했다. 지난해까지 8년간 4만419명의 SW전공인력과 2만7136명의 융합인력을 배출했다.

과기정통부는 일반트랙 11개 대학, 특화트랙 2개 대학을 각각 선정했다. 일반트랙은 입학정원 100명 이상으로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 대학원을 필수로 운영해야 한다. 특화트랙의 경우 재학생 수 1만명 미만 중소규모 대학을 대상으로 별도 소프트웨어 학과 정원과 대학원 운영 요건은 없다.

일반트랙에는 36개 대학이 신청해 경남대, 경희대, 고려대, 군산대, 동국대, 동아대, 부산대, 순천대, 영남대, 연세대, 한동대가 최종 선정됐다. 특화트랙은 10개 대학 중 신한대와 한라대가 뽑혔다.

SW 중심대학은 최대 8년간 지원받을 수 있으며 대학 내 디지털 교육과 초·중·고교생 대상 SW 기초교육 지원, 고품질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공유, 지역 기업과의 산학협력 등 대학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 방향을 설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오용수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SW 중심대학은 그동안 우리나라 SW 산업 발전을 견인하고 지역 내 사회문제 해결, SW 가치 확산 등 핵심인재 양성에도 기여했다”라며 " “SW중심대학이 산업체 인력난 해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했다.